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기
파악
쥐기
뉴스
"
포착
"(으)로 총 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맘대로 하세요” 초고도비만 너구리 발견
팝뉴스
l
2018.10.18
공개한 후 각종 SNS와 유명 사이트로 빠르게 유포된 사진이다. 사진은 초고도 너구리를
포착
했다. 너구리는 너무 뚱뚱해서 배수구로 들어가지 못하고 끼고 말았다. 허공을 바라보는 너구리의 표정이 재미있다. 팔과 몸에 힘을 다 빼고 눈에도 힘이 없다. 너구리는 “될 대로 되라”며 ... ...
악어 잡아먹는 악어 '
포착
'
팝뉴스
l
2018.10.14
팝뉴스 제공 악어가 악어를 잡아먹는 장면이 인터넷에 공개되어 화제가 된 영상 중 일부이다. 영상은 10월초 호주 노던 테리토리 댈리 강에서 촬영되었다. 거대한 바다 악어가 뭔가를 물고 있었다. 관광객을 이끌던 가이드가 접근해보니 악어 입에는 악어가 물려 있었다. 대형 악어는 강가 ... ...
100㎞바깥 우주에서 벌어지는 총성없는 전쟁
2018.10.13
있도록 민군 소통의 기회가 더욱 활발해져야 하는 이유다. 날아오는 미사일의 화염을
포착
해 발사지와 경로, 낙하지점을 예상하는 조기경보위성 기술도 마찬가지다. 이 기술은 예를 들어 손흥민 선수가 찬 축구공을 다른 선수가 다른 축구공을 차서 맞히는 것보다 어려운 일이다. 예전에는 ... ...
[표지로 읽는 과학]초파리 뇌 발달 과정을
포착
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3
사이언스 제공 성숙한 뇌에는 약 880조 개의 신경세포와 함께 최소 수십~수백억 개의 신경세포 네트워크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도시가 제대로 기능하게 만들기 위해 각종 시설물이 들어서듯 뇌 발달 과정에서 신경세포는 자신의 역할에 맞는 자리를 찾아간다. 하지만 인간의 뇌 발달과 ... ...
도마뱀을 사냥한 전갈 ‘
포착
’
팝뉴스
l
2018.10.10
팝뉴스 제공 해외 SNS에서 지난주 큰 화제가 된 이미지다. 늦은 밤이었다고 한다. 친구는 차고의 전등 스위치를 켰다. 바닥에서 뭔가가 꿈틀거렸다. 사람은 반사적으로 눈을 돌리게 되었고 깜짝 놀라게 되었다. 전갈이 도마뱀의 머리를 물고 있는 것이 아닌가. 전갈은 도마뱀의 머리 일부를 이미 ... ...
날강도 갈매기
팝뉴스
l
2018.10.09
갈매기는 아이스크림을 낚아챘다. 사진은 어이없고 당황스러운 상황을 절묘하게
포착
했다.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 인기가 높은 사진은 날강도 같은 갈매기의 ‘아이스크림 탈취’순간을 담았다. 사진 공개자가 얼마나 놀라고 황당했을지 그 마음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사진 속 상황이 긴박하다. ... ...
[표지로 읽는 과학]인류,토성에 더 다가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7
수 있는 환경이라는 사실이 밝혀졌고, 엔켈라두스의 남극에선 심해수(深海水)의 흔적도
포착
됐다. 연구진은 임무 설계 단계부터 카시니가 지구 박테리아 등 토성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물질을 옮기지 않도록 임무를 마친 뒤 토성의 대기에서 타버리게끔 계획했다. 카시니는 마지막 임무인 ‘그랜드 ... ...
새의 눈물을 훔치는 나방 ‘
포착
’
팝뉴스
l
2018.10.03
팝뉴스 제공 9월말 해외 과학 매체들의 주목을 받은 영상 중 일부이다. 새 한 마리와 나방이 보인다. 밤이다. 새는 눈을 뜨고 있다.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사실은 새가 잠을 자고 있다. 나방이 다가와 눈꺼풀을 들어 올린 후 눈물을 빨아먹고 있다. 브라질 국립 아마존 연구소의 연 ... ...
사람 다리를 가진 개?
팝뉴스
l
2018.10.02
뛰어다니기 어려울 것이다. 앞발을 들고 뒷다리로 달려야 한다. 물론 사진은 순간
포착
이미지다. 우연히 사람과 개가 하나인 것처럼 보이게 되었는데 그 순간을 촬영한 것이다. 사진은 해외 네티즌들에게 작은 웃음을 주면서 화제가 되고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 ...
23번째 노벨과학상 수상…日 과학 위기론 수그러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과학 위기론도 재평가될 전망이다. 실제로 일본 과학의 곳곳에선 위기 신호가
포착
되고 있다. 지난달 9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문부과학성 산하 과학기술정책연구소가 2013년~2015년 발표된 자연과학 논문 건수를 집계한 결과 일본은 6만4013건으로 10년 전보다 6%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이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