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다리에서도 뿔이 난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빛이 수컷의 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리듬에 어떤 형태의 신호가 된다. 겨울동안
계속
줄던 호르몬 분비가 최저선에 다다른 이른봄부터 뿔의 성장은 시작된다. 그뒤 일광의 양과 함께 호르몬의 분비도 증가하여 체내에 넘치는 가을의 발정기에 뿔은 훌륭하게 자란다. 이런 호르몬의 증감과 ... ...
세계를 변화시키는 거대 기술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지금부터 개발할 것인가 하는 점은 MIT의 선진공학 연구센터 등 전문가 그룹들 사이에서
계속
검토해 나갈 예정입니다. 그러나 성급하게 승객운반용 수송시스템에 착수하기보다, 내 생각으로는 먼저 진공을 이용한 파이프를 사용해 소비자에게 상품을 공급하는 배달시스템 같은 것을 실용화하고 그 ... ...
지구촌의 사람들 인구추세, 사망률 그리고 삶의 질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현상, 즉 미국에 입국한 외국태생 남편의 숫자가 보다 많아진 것이다. 이런 현상이
계속
될지는 더 두고볼 일이다. 휴가때에 사람은 인간답게 된다매일아침 대도시근처에 사는 수많은 사람들이 훌쩍 커피를 마시고 조간신문을 대충 본다음 부랴 부랴 직장을 향한다. 산업화가 진행될수록 ... ...
날로 늘어나는 비만증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등이 감지되지 않으면 만복중추는 채워지지 않는다. 그렇게되면 항상 공복감에 지배되어
계속
먹기만 하게된다. 인간도 이 부위의 뇌종양 뇌출혈일때 병적인 비만이 생긴다. 그러나 보통의 비만(단순성 비만)과 중추성의 장해와의 관련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점이 많다 ... ...
우체국의 혁명 국내 최대, 최고의 서비스망 갖춘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능력과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 어차피 우체국의 온라인화는
계속
확대해 나갈 것이며, 정보의 고속도로라 불리우는 컴퓨터 네트웍의 문제도 기간 시설은 이미 완성되어 있으므로 다만 이(異)기종간의 통신호환 문제만 해결된다면 금명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새로운 ... ...
천재의 조종법, 프로그래밍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단계 3/90˚오른쪽으로 돈다.단계 4/문쪽으로 간다.단계 5/문인가? 아니면 단계 4를
계속
한다. 맞으면 단계 6으로 간다.단계 6/멈추어 선다. 이러한 처리 순서를 흐름도(Flow Chart)로 나타내면 (그림 2)와 같다. 이와 같이 단계나 흐름도로 정리할 수 있다면 프로그램은 이미 끝난 것과 다름 없다. ... ...
지구는 더워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한다. 국제기관에서는 훼손된 지역내의 농업이 다시 활기를 띠도록 개선해 나가는 일을
계속
해야 할 것이다.소수이지만 몇몇 정치가들은 과학자들과 생각을 같이한다. '고어'씨는 "온실효과는 과학분야의 보수적인 문제를 벗어나서 주요한 문제로 여겨지게 되었다. 우리는 현재 그 문제는 실제적인 ... ...
화성은 어떤곳일까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못하다고 말했다. 화성의 공기는 대부분 탄산개스로 구성돼 있다. 화성에 관한 연구는
계속
진행중이며 오는 90년에 화성기후조사우주선이 발사되면 더 많은 정보를 얻게될 것이다. 이 우주선은 화성의 낮은 궤도를 6백87일간(화성의 1년에 해당)돌며 기후변화 등 여러가지 탐사 활동을 벌이게 된다 ... ...
충북청원군 두루봉 유적을 통해본 한반도의 구석기 문화와 환경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석회암지대여서 유물보존상태가 양호했기 때문. 두루봉유적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계속
되고 있으므로 좀더 시간이 흘러야 그 최종적인 결과가 나올 것 같다. 특히 인골에 대한 연구가 끝나야만 정확한 연대라든가 구석기인들의 정체, 생활상이 나올 것이다. 동식물상에 대한 연구도 더 진척되면 ... ...
시대에 맞는 국민문화의 창조를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산업혁명에 견줄만한 '기술혁명'또는 '제2의 산업혁명'으로서 아마 앞으로 21세기초까지
계속
될 전망이다. 18세기의 산업혁명은 당시의 농경사회를 산업사회로 바꾸어놓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지금 전개되고있는 기술혁명 또한 오늘날의 산업사회를 미래의 새로운 사회로 탈바꿈시킬 것이다. 이를 ... ...
이전
1036
1037
1038
1039
1040
1041
1042
1043
10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