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뉴스
"
연구원
"(으)로 총 16,886건 검색되었습니다.
소금으로 만든 차세대 배터리
과학동아
l
2019.09.06
개발한 동전 형태의 소듐이온 이차전지를 분해한 모습. KIST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KIST) 에너지저장연구단이 소금의 주성분인 염화소듐(NaCl)을 기반으로 하는 소듐이온 이차전지용 전극을 개발하는 데 성공해 국제학술지 ‘ACS 에너지 레터스’ 7월 11일자에 발표했다. 현재 사용되는 리튬이온 ... ...
상온 VOCs 제거 기술로 공기질 스마트하게 관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6
위해 현재 사용하는 백금 대신 철이나 니켈을 사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김 수석
연구원
은 “백금을 사용하기 때문에 촉매 기본 원가는 비싸다”며 “기술을 통해 원가를 줄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암 재발의 근원 암줄기세포만 콕 찍어주는 형광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9.09.06
IBS) 복잡계 자기조립연구단 장영태 부연구단장(포스텍 교수) 와 김종진 박사후
연구원
연구팀은 암 줄기세포를 탐지하면 근적외선을 내는 형광물질인 타이니어(TiNIR)를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줄기세포는 사람의 여러 신체로 분화되는 세포다. 사람은 줄기세포를 통해 성장하고 다친 상처가 ... ...
촉각세포 모방한 전자피부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한양대 화학공학과 김도환 교수와 인도 출신의 비핀 아몰리 박사, 지은송 김주성
연구원
연구팀은 사람 피부에 있는 촉각세포를 모방해 기존 촉감센서보다 30배 성능을 끌어올린 전자피부 소재를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과학자들은 인공장기와 로봇의 피부에 사용하는 전자피부를 개발하고 ... ...
차세대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전극 저온 제조 실현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충남대 신소재공학과 윤순길 교수(사진)와 트란 반당
연구원
은 약 100도의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작할 수 있는 그래핀 전극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유기물과 무기물 특성을 모두 지닌 ... ...
맥으로 통증 판단할 과학적 기준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얕으며 가장 큰 맥파가 나타날 때의 압력 크기가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 책임
연구원
은 “한의학 맥의 특성을 정량적 지수로 구현하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임상 유효성까지 검증했다”며 “다양한 지표를 개발하고 신의료기술로 인정받기 위한 후속 연구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뇌세포 조절해 비만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DGIST)은 김은경 뇌인지과학전공 교수(뇌대사체학 연구센터장)와 김설송
연구원
팀이 고지방 식품 섭취에 따른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후보 표적을 발견했다고 5일 밝혔다. 현대에 비만과 당뇨 등 대사성 질환이 늘어난 이유는 서구화된 식습관이다. 이를 예방하고 치료하려면 식욕을 감소시켜 ... ...
"독자 우주청 어렵다면 과기부 산하 외청 신설해 독자 기획·예산권 줘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거대공공연구정책과장과 박정주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부원장, 김유빈 국회 미래
연구원
연구위원, 이성섭 공군 항공우주전투발전단 우주발전처장, 최준호 중앙일보 과학미래팀장이 참석했다. ... ...
IBS 차기 원장 후보에 이용희·김만원·노도영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기초과학
연구원
(IBS)을 이끌어갈 차기 원장 후보자가 3명으로 압축됐다. 이용희 고등과학원 원장과 김만원 KAIST 명예교수, 노도영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가 IBS 차기 원장 3배수에 올랐다. IBS는 5일 원장추천위원회(원추위)를 열고 3명의 차기 원장 후보자를 추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 ...
지능형 반도체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종료...94명 교육 수료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지난해까지 총 648명이 교육 수료를 마쳤다. 산업체 전문가와 대학 교수, ETRI 전문
연구원
등이 교육과정 개발 위원회를 구성하며 이를 통해 10년 이상 실무 경력을 지닌 베테랑 강사들을 뽑아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올해 94명의 참가자가 교육 수료를 마쳤다. 수료를 마친 참가자들은 시스템 반도체 및 ... ...
이전
1037
1038
1039
1040
1041
1042
1043
1044
10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