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김대건 신부 생전 얼굴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조각가의 의견을 따랐다.이번 작업으로 복원된 김 신부의 얼굴이 실제 모습과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이 복원상이 한국인 자료를 토대로 제작된 최초의 얼굴복원이며 현재까지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과학적으로 복원할 수 있는 최선의 결과라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지금 ... ...
2. 성인 몸에서 세포공장 찾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인체의 모든 세포나 기관으로 분화할 수 있는 배아줄기세포와 달리 성체줄기세포는 어느
정도
분화되는 방향이 정해져 있다. 흔히 이 사실을 단점으로 지적하지만 장점이 될 수도 있다. 즉 타원형의 럭비공을 땅에 튀기면 그 럭비공이 어디로 튈지 예측하기가 곤란하다. 마찬가지로 배아줄기세포의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비례해서 커졌기 때문에 다리의 굵기는 2배 커졌고, 따라서 다리의 단면적은 22배, 즉 4배
정도
커집니다.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다리의 단면적은 4배밖에 안커졌으니까 무게가 8배나 커진 몸을 지탱하긴 어렵겠죠. 그래서 다리가 상대적으로 더 두꺼워져야 하는 것입니다(그림2). 문 : 더 두꺼워지지 ... ...
수술중 환자 사망하면 의사 손 잘라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있다. 이 기록에 따르면 당시가 계급 사회였던 까닭에 신분에 따라 의사가 책임져야 하는
정도
가 달랐다.즉 의사가 중병 치료를 위해 칼로 수술하던 중 환자를 죽게 하거나 시력을 잃게 하면 의사의 손을 잘랐으며, 그 환자가 노예인 경우에는 노예값의 절반을 물어주어야 했다. 또 노예를 치료하다 ... ...
조윤제 암블랙박스 파헤치는 구조생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지나치다 싶을
정도
로 무감하다. 하지만 그의 뿌리깊은 호기심은 남들이 부러워 할
정도
의 커다란 열매를 맺고 있으니 놀라운 일이다. 순수한 열정과 호기심에 신이 선물을 내려준 것일까. 그의 연구 결과는 기초과학 연구가 중요한 까닭을 한눈에 보여주고 있다. 어떻든 눈앞의 이익을 좇기보다 ... ...
러브록의 '가이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있으며 해양과 대기의 조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약한’ 의미의 가이아 이론에 어느
정도
동의하고 있다.우주에서 가장 거대한 생명체가이아에 대한 러브록의 탐구는 1960년대 중반 미항공우주국(NASA)이 화성의 생물체를 탐사하기 위한 시도를 수행할 때부터 비롯됐다. 당시 해결해야 할 큰 문제 중 ... ...
화성 물의 존재 말하는 새 지형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박사는 “지하얼음이 수백만년 전 5m
정도
깊이에 존재했다면, 현재는 10m가 넘지 않는
정도
의 깊이에서 살아남아 있을지도 모른다”고 추정했다.화성에서 미생물을 기대한다면 추운 극지역보다 따뜻한 지역이 유리하기 때문에 이번 결과는 과학자들을 더욱 흥분시키고 있다 ... ...
사랑과 이별의 하늘강 은하수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한번 볼 계획을 세워봄이 어떨까. 물론 사전에 어떤 별이 견우고, 어떤 별이 직녀인지
정도
는 알고 떠나야 하겠다.하늘 별자리 조각한 ‘부사의 탑’ 전북 부안군 부안읍 매창공원(서림공원)에 하늘의 별자리를 조각한 천구의 탑이 세워졌다. 이름해 ‘부사의 탑’. 이 천구의 탑은 금구원 조각공원 ... ...
맨몸으로 즐기는 인공파도·서핑·미끄럼틀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이에 대해 하늘이 양동이 채로 물을 퍼부었다고 말한다.그러나 양동이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
로 큰 물벼락을 워터파크에서 맛볼 수 있다. 워터파크에는 3분을 주기로 2.4t의 물을 한순간에 맞을 수 있는 놀이시설이 있다.얼굴면과 머리면이 비대칭인 해골 머리 모양의 거대한 바가지는 양 옆면을 ... ...
새롭게 밝혀진 피라미드의 신비5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목록과 제위기간이 기록된 연대기를 이용해 추정됐는데, 기록이 불완전해 오차가 1백년
정도
였던 것에 비하면 놀라운 결과다.피라미드의 건축연대에 대해 최근까지도 많은 논란이 있었다. 어떤 학자들은 피라미드의 놀랄만한 정밀함이 당시 기술로는 불가능하다고 하면서 수만년 전에 외계인이 ... ...
이전
1038
1039
1040
1041
1042
1043
1044
1045
10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