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893건 검색되었습니다.
"벌독 성분서 새 면역항암제 후보 물질 찾았다"
연합뉴스
l
2019.08.24
암세포가 사멸되는 효과가 관찰됐다고 23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면역학 분야 국제
학술
지 '암 면역치료 저널'(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 최근호에 발표됐다. 멜리틴은 벌독 성분 중 약 50%를 차지하는 '26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성분으로, 주로 항염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 ...
[표지로 읽는 과학] 산불로 위협받는 자연의 '탄소 저장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8.24
제공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21일 표지에 대형 화재로 인한 짙은 연기가 뭉게뭉게 나는 모습과 함께, "북방 침엽수림에 큰 불이 나면 '탄소 저장고'가 오히려 기후변화를 심화시키는 온실가스로 돌변하게 될 것"이라는 경고성 문구를 보였다. 북방 침엽수림(타이가)은 북위 50~70도에 띠처럼 형성돼 ... ...
"축소 논란 이공계 전문연구요원 선발기준에 연구역량 추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게 핵심이다. 연구역량 평가는 서면과 대면 두 단계로 진행된다. 권지은 교육부
학술
진흥과 사무관은 23일 오전 10시 서울 강남 한국과학기술회관 12층 아나이스홀에서 ‘전문연구요원제도 논란, 해법은 없나?’를 주제로 열린 한국과학기자협회 이슈토론회에서 “개선안이 확정되면 제도의 변화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알렉산드리아에 개관했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은 일종의 국립
학술
원이라고 할 수 있는 무세이온(Museion)의 부속기관이었다. 무세이온은 말 그대로 뮤즈(Muse), 즉 음악의 여신을 위한 기관이지만 기본적으로 그 이전의 플라톤의 아카데미아나 아리스토텔레스의 리케이온과 ... ...
세포 노화 관여하는 '라민' 단백질 구조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하남출 서울대 농생명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인간 세포 구조를 유지하는 라민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밝혀내 단백질의 구조 형성 원리를 밝혀내는 데 ... 노화 원리를 이해하는 데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이달 21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됐다 ... ...
사람의 생각 읽고 뇌 질환 치료 돕는 초소형 ‘브레인칩’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조일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뇌 신호를 읽고 신경세포에 자극을 동시에 주는 초소형 브레인칩을 개발했다. 조일주 책임연구원 ... 시스템과 뇌질환 치료 기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 ...
‘유령입자’ 중성미자의 질량 비밀, 슈퍼컴퓨터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있는 최댓값을 천문학 데이터를 이용해 처음으로 밝혀내는 데 성공해 물리학 분야 국제
학술
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 23일자에 발표했다. 입자의 질량은 처음부터 한 번에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워, 보통 최댓값과 최솟값을 찾아 범위를 좁혀가며 찾는다. 연구팀은 우주 팽창 속도를 연구하기 ... ...
'1만 시간의 법칙' 따라도 전문가 되는 건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연습했다며 이후에는 다른 요인에 의해서 실력이 결정된다는 주장을 이달 21일 국제
학술
지 ‘영국왕립학회 오픈사이언스’에 발표했다. 1만 시간의 법칙은 어떤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최소한 1만 시간의 훈련이 필요하다는 법칙이다. 1만 시간은 매일 3시간씩 훈련하면 약 10년이 걸린다. ... ...
고통 느끼는 로봇 나오나…'인공피부'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장재은 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왼쪽), 심민경 연구원이 자체 개발한 고통을 느끼는 센서를 들고 있다. DGIST 제공 로봇의 피부를 펜으로 콕콕 찌르 ... 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로봇 분야 국제
학술
지 ‘소프트로보틱스’ 7월 23일자에 발표됐다. ... ...
"수돗물 속 불소가 태아의 IQ 떨어뜨려" 연구결과에 '발칵'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쉽지 않았다"며 "연구방법과 조사 결과에 대해 추가 조사를 거쳤다"고 언급했다.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의 보도에 따르면 톰 바글리 영국 노팅엄트렌트대 실험심리학과 교수는 "연구에 활용한 데이터가 명확하지 않아 결과에 대한 신뢰가 떨어진다"고 했다. 반면 린지 맥라렌 캐나다 캘거리대 ... ...
이전
1042
1043
1044
1045
1046
1047
1048
1049
10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