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토마토 국내에서 첫 재배 실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등 수십종류의 생물들이 우주공간에 보내져 테스트를 받아왔다.우주토마토 프로젝트는
바로
이러한 우주생물실험의 하나. 84년 LDEF는 알루미늄 용기에 1천2백50만 개의 토마토 씨앗을 다른 여러가지 실험재료와 함께 싣고 우주공간에 올려졌다. 당초 2년 정도 우주공간에 머물 예정이었으나 86년 1월 ... ...
'93 대전 엑스포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이다. '문명의 4계'라는 제목 아래 1시간10분 동안 개최되는 여름 가을 겨울 봄의 드라마는
바로
지금까지 인류가 살아온 모습을 표현한다. 베틀소리 지게장단소리 팽이소리 등이 화음을 이루어 '한국의 소리'를 만들어낸다. 여름은 과학기술이 이룩한 현대문명의 모습을 수목의 푸르름으로 나타낸다. ... ...
태양표면의 흑점수를 세어보자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태양광선을 모으기 때문에 똑같은 위험성이 따른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천체망원경으로
바로
태양을 잡아 접안경으로 그냥 들여다 보면 눈에 화상을 입는 등 치명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직접적인 실명에까지 이를 수도 있다. 소형망원경에서 모아 직접 나온 빛은 알루미늄 쿠킹호일이 줄줄이 ... ...
글자꼴의 멋과 균형미 추구하는 폰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워드프로세서의 편리함에 반해버린 많은 PC사용자들은 이제 그들의 관심을 '편리한 입력과 편집'이라는 기본욕구를 뛰어넘어, 보다 아름답고 세련된 문서만들기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들어 폰트, 혹은 글꼴이 자주 이야기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
2. 윈도우 시대의 글꼴 윤곽선 폰트 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개선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힌트(hint)라는 기법을 통해 해결하고 있는데,
바로
얼마나 좋은 힌트방법을 사용하고 있는가'에 따라 래스터라이저의 성능도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48×48 이하의 비트맵 글꼴을 만들 때는 힌트 기법이 필요하다.윤곽선 글꼴 형식은 표준적인 것만 하더라도 여러가지가 ... ...
자외선 오존층 뚫고 지구 위협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아프리카 지역에 서식했던 소위 범벌(killer bee)이라는 벌들이 남아메리카로 옮긴 경우가
바로
그것이다.개화시기에도 영향태양광 스펙트럼의 자외선 영역의 변화에 의한 악영향은 식물의 세계에서도 예외가 될 수 없다. 식물들은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정도로 UV-B 광도변화에 민감하게 영향을 ... ...
미사일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비용으로 최대의 군사력을 구축하려고 노력하고 있는데, 이러한 여건에 알맞는 무기가
바로
미사일이다. 지난 82년 포클랜드 분쟁에서 30만 달러의 엑조세 대함미사일 한 발이 수 억 달러에 달하는 영국의 구축함을 격침시켰던 사실을 상기하면 전술 미사일의 개발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알 수 있다 ... ...
우주의 나이 어떻게 재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잔재를 가장 정밀하게 관측함으로써 대폭발 우주론의 정당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바로
이 대폭발의 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측정, 즉 우주의 나이를 계산하는 것은 천문학자가 갖고 있는 특권이며 동시에 의무인 것이다.구상성단을 주목천문학자들이 우주의 나이를 계산하는 방법의 기본은 ... ...
금세기 최대의 유성우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수 있다.■NGC7000밤하늘에서 절대등급으로 기장 밝은 백조자리의 꼬리별인 데네브의
바로
옆에 위치하는 산광성운으로 북아메리카성운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120분×100분이나 되는 너무나도 큰 영역을 차지하고 있고 장파장의 빛을 방출하고 있기 때문에 눈으로 감상하는 것은 쉽지 않다. 아주 ... ...
화석속의 DNA추출, 1억년전 공룡 되살릴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설계도를 얻지 못하면 자동차로서의 기능을 해낼 수는 없다. 지금의 유전자 코드 해독이
바로
그 수준"이라고 이대실 박사는 지적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쥐라기 공원은 현재로서는 불가능하지만 있을 법한 이야기"라고 말하는 그는 유전공학이 소개된 지 수십년 밖에 안된 상황임을 지적한다. 195 ... ...
이전
1043
1044
1045
1046
1047
1048
1049
1050
10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