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520건 검색되었습니다.
잘 뿜는 차가 잘 달린다
과학동아
l
199708
가벼울수록 좋은 항공기에 터보차저는 제격이었다. 더구나 하늘 높이 올라갈수록 공기
밀도
가 희박해 스피드와 부력이 약해지는 것을 터보차저로 압축공기를 넣어 보완해줄 수 있어 각광을 받았다.스웨덴의 사브자동차가 1970년대 말 승용차에 터보차저를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이래 널리 사용되기 ... ...
모형로켓과 물로켓
과학동아
l
199708
공기압력과 물을 이용한다. 페트병에 물을 조금 넣고 공기를 불어넣어 압축하면 공기
밀도
가 높아진다. 이때 마개를 열어주면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에 의해 로켓이 날아간다. 발사방법①발사대 헤드에 흙이나 모래가 들어가지 않도록 비닐이나 돗자리를 깐다. 발사대를 바닥에 고정시키고 ... ...
공기는 생명의 근원
과학동아
l
199708
분명하지 않다. 대기는 위로 갈수록 엷어지다가 결국 우주공간으로 연결된다. 대기의
밀도
와 기압은 위로 올라갈수록 급격히 줄어든다. 이 때문에 사람은 다른 장치의 도움 없이 1만m 이상 올라갈 수 없다. 그래서 에베레스트산 정상에서는 20여분에 한걸음씩 옮기는 것도 매우 어려운 일이다.사람의 ... ...
지구 옆에 있던 행성 사라져
과학동아
l
199707
형성한 구름의
밀도
가 (그림)과 같이 거리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는 점을 보여줬다. 이때
밀도
가 응집된 영역에서 행성이 생겨난다. 크리스토돌로는 “행성들은 (그림)에서처럼 솟아오르는 부분에서 형성됐다”고 말했다. 그런데 여기서 매우 중요한 사실이 하나 발견됐다. 바로 지구와 화성 사이가 ... ...
물 속에서 손에 주름이 잡히는 이유
과학동아
l
199707
막으로 막은 관에 용액을 넣어 용매에 담근 뒤, 관의 수면 변화량과 관 안의 용액의
밀도
를 직접 측정한 후 삼투압을 구해 반트-호프 식으로 구한 값과 비교해 보자.π=ρ는 용액의
밀도
(Kg/m³), g는 중력가속도(9.8m/초²), h는 용액의 높이(m) ... ...
③ 공룡멸종에 대한 새로운 해석: 잃어버린 세계
과학동아
l
199707
알바레스와 세명의 공동 연구자들은 백악기 말과 제3기 초 시대의 바위들에 이리듐이 고
밀도
로 농축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리듐은 지구상에는 희귀하지만, 운석에는 흔하게 발견되는 원소다. 알바레스 팀은 그 시대의 바위에 이리듐이 많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지름이 수km에 이르는 거대한 ... ...
최초 자동차는 시속 3km의 세 바퀴 수레
과학동아
l
199707
있는 전기자동차들에게도 여전히 걸림돌이다. 현재는 기존의 납축전지 이외에 에너지
밀도
가 높고 수명이 긴 니켈-카드뮴(Ni-Cd)이나 니켈-수소화물(Ni-MH)전지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개발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충전시간이 가장 짧은 것으로는 미국의 제너럴 모터스에서 개발한 3시간 충전에 1백45km를 ... ...
Ⅰ. 과학과 상상의 앙상블
과학동아
l
199705
태양질량의 약 3천만배이다. 그러므로 그곳에 가더라도 죽는 일은 없지 않을까. 물론
밀도
가 낮은 블랙홀 표면에서의 이야기다.1. 우주선에서 빠져나온 비행사가 블랙홀에 빠지는 순간공간은 평평하다. 우주선의 벽시계와 비행사가 찬 손목시계의 시간이 일치한다. 손목시계와 벽시계는 모두 12시 1 ... ...
NTT, 핵이 없는 '인공원자'만들어
과학동아
l
199705
자연계에 존재하는 원자는 모두 원자핵과 전자로 이뤄져 있다. 그렇지만 원자핵이 없는 ‘인공원자’가 일본전신전화주식회사(NTT) 기초연구소에서 ... 전자를 넣은 인공원자가 만들어졌다. 앞으로 인공원자의 목표는 전자 1백만개가 들어가는 높은
밀도
, 즉 높은 메모리를 만드는 것이다 ... ...
Ⅱ. 블랙홀 과학사 : 1. 파란만장한 블랙홀 자서전
과학동아
l
199705
중성자별에서는 각설탕만한 부피(1cm³)의 물질이 10억t이 넘는 질량을 가질 정도로
밀도
가 높다. 만약 중성자별이 우리 해와 질량이 같다면 그 반지름이 10km 정도다. 따라서 반지름이 3km인 블랙홀이 존재할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게 됐다.블랙홀이 활발하게 다시 연구된 배경에는 일반 대중의 깊은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