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e
학구생활
d라이브러리
"
학계
"(으)로 총 1,189건 검색되었습니다.
ASIC 미래의 반도체를 주도
과학동아
l
198909
구축과 소프트웨어의 개발등 설계환경의 구축은 반도체 회사나 정부, 그리고
학계
모두 힘을 모아서 경쟁이 아니라 협력의 차원에서 공동으로 노력할 필요성이 있는 분야라 생각한다.한편 응용기술의 경우는 설계환경의 구축과는 반대로 독창적인 개성이 요구되고 경쟁이 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 ...
3천미터 심해탐사선을 목표로
과학동아
l
198909
우주개발보다도 더 어려운 3대 거대과학의 하나로 손꼽고 있지 않는가. 산업계와
학계
연구소 정부가 국민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굳건히 손을 맞잡을 때 비로소 산적된 난제들을 풀어갈 수 있을 것이며, 현재 이 방면 선진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을 것이다 ... ...
PARTⅠ지구에 어떤 영향을 주나
과학동아
l
198909
시작한 것.지난 3월 초 1천문단위 떨어진 태양에서는 엄청난 규모의 흑점이 출현, 천문
학계
에 큰 화제를 뿌렸다. 흑점의 크기는 지구를 무려 70개나 삼켜버릴 정도였으며, 태양이 얇은 구름에 가려질 때에는 맨 눈으로도 그 실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흑점의 등장과 동시에 강력한 자기장이 태양 주위를 ... ...
PART Ⅱ 태양전지와 태양광 발전의 원리
과학동아
l
198909
등에 태양광발전시스템을 응용하고 있다.국내의 연구현황도 꽤 활발하다. 1970년부터
학계
와 연구소가 중심으로 태양전지에 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것. 특히 아몰퍼스규소(amorphous silicon)와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는 크게 주목받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이 서울대와 협력, ... ...
한국형 PC OS 개발
과학동아
l
198908
연구프로젝트로 추진할 계획이다.이에 따라 연구조합은 지난달 12일 관련기업과
학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하는 한편 구체적인 연구개발작업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이 연구개발작업은 오는 93년까지 멀티유저(multi-user) 멀티태스킹(multi-tasking) 기능을 갖춘 OS를 개발하는 것을 ... ...
반도체 산업계를 뒤흔든 16메가칩 개발의 진상
과학동아
l
198907
이 내용이 담긴 논문을 공식 발표한다는 것.이 보도가 있자마자 산업계와
학계
는 물론 정부에서도 깜짝 놀라는 한편 당황해하는 기색을 감추지 못했다. 그 이유는 국내기술수준으로는 91년에 가서야 16메가D램이 개발되리라고 예측돼 왔기 때문.이제까지 관례로 보아 16메가D램 4메가D램 등 새로운 ... ...
소련·루마니아·불가리아 과학기행 특색있는 제도와 내용
과학동아
l
198907
연구결과를 경제에 응용하는 방법을 모색한다.약 40개에 이르는 과학심의회가 GKNT와
학계
사이를 연결해주고 있었다. 과학심의회는 저명한 과학자와 연구전문가들과 구성돼 있는데 그 영향력은 매우 컸다.GOSPLAN은 전국적 경제계획을 수립하고 연구 결과를 직접 응용,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을 ... ...
동양·중국 전통과학의 한계 왜 제자리 걸음만 했나
과학동아
l
198906
그 핵심을 이루는 중국의 전통과학과 자연철학에 대한 관심이 퍼져가고 있다.우리나라의
학계
일각에서도 이야기되고 있는 이른바 '신과학운동'이라는 움직임도 동양의 과학과 사상에서, 무언가 현대과학의 문제들로부터의 출구를 찾아보려고 하는 일면을 볼 수 있다.중국문화권에 속해왔던 우리 ... ...
전자시대의 새로운 인간유형 실리콘 밸리의 소년들
과학동아
l
198906
체력을 정복하고 말 것이다"라고.그러나 맥루한의 예리한 통찰은 대중의 갈채도
학계
의 찬동도 얻지 못했다. 그는 일찌기 "만약 내가 '제3의 물결'을 써서 일약 유명하여진 저널리스트 '앨빈 토플러'였다면 모두가 나를 이해하여주고 유명하여졌겠지"라고 말한 적이 있다.많은 사람들이 ... ...
한반도 거의 전역에 구석기인 살아
과학동아
l
198906
한반도의 구석기문화는 그 존재까지 의심되었지만 이제는
학계
의 노력으로 구석기인의 형질·체질과 문화가 속속 밝혀지고 있다.금년 2월 또 하나의 구석기 유적이 발굴되었다. 섬진강 유역에 자리잡은 보성군 곡천유적이 그것인데 이로써 구석기시대 유적지의 분포가 더욱 확대되었다. 한반도의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