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값"(으)로 총 3,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공유, 기술, 소통으로 본 똑똑한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등을 알 수 있다. 식생지수는 적외선과 근적외선 영상을 조합해 만든 지표다. 식생지수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식물과 생물이 많은 지역이고, 0은 황무지, -1은 강과 바다를 말한다.테라는 매일 오전 10시 30분에 한반도를 지나며 200가지가 넘는 정보를 수집한다. 그 중 열복사량, 식생지수, 반사율, ... ...
- 새 학기 맞이 수학 체질을 바꿔드립니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동치 문제’를 풀어 보게 했어요. 등식의 동치 문제란 등호(=)를 기준으로 양변의 값이 같도록 만드는 문제를 말해요.연구팀은 학생들을 세 그룹으로 나눠 서로 다른 방법으로 한 문제를 풀게 했어요. 2+9+4=□+4에서 □에 들어갈 알맞은 수를 찾는 문제였답니다.첫 번째 그룹은 숫자 자석을 자유롭게 ... ...
- [생활] 수학을 알면 야구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올 시즌 NC의 행보에 관심이 가는 이유다.가장 불운한 팀은 역시 KIA타이거즈였다. 기댓값보다 무려 40점 가까이 손해를 봤다. 통계적으로 올 시즌 기아의 수치는 좋아질 가능성이 있지만, 불펜과 수비 불안 같은 고질적인 문제가 바뀌지 않는 한 올해도 불운은 계속될 것이다.베이스볼을 직접 ... ...
- 色시한 과학 色시한 라이프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이제 거의 다 왔습니다. 처음 공식으로 돌아가 봅시다. 표준 관측자 함수는 항상 고정된 값입니다. 광원의 파장은 내 방의 조명에 따라 정해집니다. 공식의 구성요소 중 두 가지를 알았으니 물체의 반사율만 정확하게 알면 그 물체가 만드는 색을 계산해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별이 ... ...
- 나는 수학자다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방식이다. 그러면 도르래에 감긴 줄의 길이가 최종 답이었다.그러나 이 기계는 정확한 값을 계산하지 못했다. 기계공학 전문가의 도움을 얻어 다양한 시도를 했지만, 이마저도 역부족이었다. 결국 1953년 맨체스터대에서 개발한 컴퓨터인 베이비로 계산 프로그램을 만들어 제타함수에서 0점이 154 ... ...
- [지식] 자유를 사랑한 수학자 로랑 슈와르츠 탄생 100주년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게다가 그래프 아래의 면적이 1이라는 조건 때문에 0에서의 값이 아주 큰 무한이 아니고 적당한 무한이라는 뜻이니, 정말 골치 아픈 놈일 수밖에 없다. 큰 무한과 작은 무한을 비교하는 일은 독일의 수학자 칸토어 이후 많은 진전이 있었지만, 어쨌든 다루기 까다로운 건 ... ...
- PART3. 4D 프린팅의 마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체인의 각 요소에는 두 가지 값이 있는 스위치가 내장돼 있다. 손으로 흔들면 스위치 값이 변하면서 각 관절이 정해진 방향으로 뒤틀린다. 마치 DNA를 구성하는 4개의 염기(A, C, T, G)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조합되는 것과 같다. 4D 프린팅은 머지않은 미래에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전망이다. ... ...
- PART 2. 기상천외한 해킹기술 5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한다. A를 입력하면 비 밀키 계산으로 B라고 대답하는 칩이 있다. 이 결과만 으로는 두 값 사이에 사용된 비밀키를 알 수 없다. 그 래서 칩의 일부를 망가뜨린다. 결함이 생긴 칩은 A를 넣으면 연산을 완전히 다 하지 못하고 C가 나온다. 같 은 방법으로 D, E를 찾아 비밀키에 대한 힌트를 얻는 다. 결국 칩 ... ...
- [Knowledge] 초속 299,792,458m를 약속하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않다. 대부분의 물질은 빛보다 많이 느려서 그냥 더하나 특수상대성이론에 따라 더하나 값이 거의 차이가 없다. 하지만 빛의 속도에 가까워지면 이야기가 달라진다.사실 특수상대성이론은 아인슈타인이 어느 날 갑자기 만든 것이 아니다. 맥스웰이 완성한 전자기학이 산파 역할을 했다. 네 개의 ... ...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잘못된 믿음에 지나지 않는다. 게다가 우리가 쓰는 디지털 컴퓨터가 내놓은 값은 근삿값에 불과하다. 아무리 완벽해 보여도 소수점 수십 자리에선 차이가 있다는 이야기다.“이젠 하드웨어(컴퓨터), 소프트웨어(프로그램)보다 휴먼웨어(인간)에 주목해야 한다”는 김 교수의 주장의 근거도 여기에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