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등급
과정
경로
등위
서열
스텝
d라이브러리
"
단계
"(으)로 총 4,80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항문 먼저 입 나중’ 초기 후구동물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별로 없다”면서 “고미생물의 발견이 이어지면 물고기를 비롯한 다양한 생물종의 초기
단계
를 이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1월 30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Future] ‘잘 나가던’ 소프트로봇이 발목 잡힌 이유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않았다. 이는 기술을 제품화하는 과정에서 흔히 직면하게 되는 문제다. 김 교수는 “연구
단계
에서는 한 가지 성능만 잘 구현하면 되지만, 실제 상용화를 할 때는 (때론 모순되기도 하는) 다양한 요구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고 말했다.문제는, 소프트로봇을 연구하는 학자나 개발자들이 상용화의 ... ...
[Issue] 범죄 피해자의 뇌 연결성 회복으로 치유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수 있다면 증상이 질병으로 발전하는 것을 예방할 수도 있다. 예컨대 PTSD로 발전하기 전
단계
인 외상후증후군(Post Traumatic Syndrome, PTS)을 보이는 피해자들을 발견해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다. PTS 증상은 특정한 상황에서 가슴이 뛰면서 호흡이 빨라지고 땀이 나는 등 PTSD와 비슷하지만, 증상이 가볍고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마치 게나 거미처럼 사방으로 펼쳐진다. 어깨와 등에서는 엄청나게 길고 굵은 포신이
단계
적으로 전개된다. 망할. 저건 이름만 들어봤다. 보는 건 처음이다. 궤도 스나이퍼. 소행성대나 지상에서 궤도 위의 전함을 저격하는 장갑복이다. 노인이 신중하게 조준하고 발사하자 엄청난 굉음과 충격파가 ... ...
[Issue]‘적정기술은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스스로 고기를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려 해도 의지가 부족한 경우도 많다”며 “설계
단계
에서부터 국가별 문화와 국민의 의식을 고려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
[Origin] 일본 iPS세포연구소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어렵습니다. CiRA에서는 파킨슨병 환자에게 건강한 신경세포를 이식하기 위한 연구를
단계
별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동물을 이용한 전임상시험이 대부분이지만 10년, 또는 그 이상을 내다보고 투자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밖에 환자의 세포에서 알츠하이머병이나 당뇨병과 같은 질병이 ... ...
[Future] 큰 녀석들의 전쟁, 거대 로봇 삼국지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거대 로봇 제작사들은 바짝 긴장하고 있다. 메소드-2가 그들은 아직 실현하지 못한
단계
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임현국 한국미래기술 대표는 “(메소드-2에 비하면 미국과 일본의 거대 로봇은) 장난감에 불과하다”며 강한 자신감을 보였다. 메소드-2의 등장으로 ‘거대 로봇 삼국지’가 시작된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첨단센서는 4차산업의 핵심기술로 꼽힌다. 하지만 국내 첨단센서 시장은 걸음마
단계
다. 첨단센서 시장은 매년 9.4%씩 성장해 2020년 176조3250억 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런 시장을 현재는 미국과 일본, 유럽이 70% 이상 점유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이 전세계 센서 시장에서 벌어들이는 ...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기대된다.국내에서도 동물실험 수준의 연구 성과는 많지만 아직까지 대규모 임상시험
단계
에 진입한 것은 없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신규 백신 개발을 위한 노력과 투자가 더욱 필요하다. ◆새들은 왜 조류 인플루엔자백신을 맞지 않을까?◆사람이 백신을 맞고 인플루엔자를 ... ...
[페르미 추정] 잘 쓰면 과학자 못 쓰면 사기꾼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이런 과대 추정과 과소 추정은 서로를 상쇄한다. 의도하지 않는 한 과대 추정이 모든
단계
에서 일어나거나 한 번도 안 일어날 확률은 낮으므로 추정치는 한 자릿수 정도의 오차를 가질 가능성이 높다. 이런 이유로 페르미 추정을 ‘자릿수 추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페르미 추정은 과학적이다.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