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표"(으)로 총 7,190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콩나무 타고 별 보러 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이해하는 첫걸음이라 할 수 있거든요. 우주에서 다른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표준촛불’이에요. 이 방법은 ‘겉보기 밝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물리 법칙과, ‘절대등급은 10파섹의 거리에 별이 있을 때의 등급’이란 사실을 이용해요. 절대등급을 알고있는 ... ...
- [탐험대학] 생태, 인공위성, 공룡...집중 탐험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우주 광고 완성!풍선 위성은 간단해 보이지만 마냥 단순한 작업은 아니에요. 박재필 대표님은 풍선에 헬륨을 너무 적게 넣었다가 위성이 높이 떠오르지 못하고 수평으로만 날다가 결국 바다에 빠진 경험을 말해 주셨어요. 높이 올리는 데는 성공했지만 땅으로 떨어진 위성을 찾지 못해 발을 동동 ... ...
- [헷갈린 과학] 잎과 줄기로 구분해! 무궁화 vs 부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잎은 가장자리 부분에 톱니가 있고, 달걀형이며 크기가 작답니다.무궁화가 우리나라 대표 꽃이 된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예부터 조상들은 우리나라를 무궁화의 나라란 의미로 ‘근화향’이라고 불렀어요. 고대 중국의 지리서 ‘산해경’ 등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보다 맛있는 복숭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식물의 수분을 돕는다고? 꿀벌은 식물의 꽃가루를 옮겨 수분과 수정을 돕는 대표적인 곤충이에요. 전 세계 농작물 60~70% 정도의 수분을 꿀벌이 맡고 있지요. 그런데 최근 꿀벌이 사라지고 있어요. 올해 2월, 캐나다 오타와대학교 생물학과 제레미 커 교수는 약 100년 동안 북미와 유럽의 기온과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미뢰, 소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현상이에요. 이때 떨림을 ‘진동’, 진동을 전달하는 물질을 ‘매질’이라 하죠. 소리의 대표 매질은 공기예요. 공기가 없는 우주에선 소리를 들을 수 없지요. 소리를 전달하는 매질은 공기뿐만이 아니에요. 친구와 종이컵을 연결해 이야기를 주고받은 적 있을 거예요. 이는 실이 소리를 전달하는 ... ...
- [탐험대학] 자율주행, 공룡, 게임…?! 어떤 탐험을 좋아할지 몰라 다 준비했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청소년들의 탐험가 선언을 듣고 멘토들은 어쩐지 긴장한 모습이었어요. 박재필 대표는 “오늘 학생들의 적극적인 질문을 들으니 좀 긴장된다”며 “앞으로 많이 공부해 청소년들에게 우주에 더 다가갈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겠다”고 말했어요.문경수 멘토는 “질문을 던질 줄 알아야 호기심이 ... ...
- 코로나19 , 1년 과학이 밝힌 숫자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로 변형됐다. 에볼라, 사스(SARS), 신종 인플루엔자 등이 대표적인 인수공통 감염병이다. 11월 4일 생물다양성 과학기구(IPBES)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발견되지 않은 바이러스는 약 170만 종이다. 주로 포유류와 조류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최대 82만 7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시도하지 못했던 초전도 자석을 이용해 플라스마를 가두는 기술을 최초로 구현해낸 것이 대표적이다. KSTAR가 최초로 도입한 초전도 자석 기술을 활용하면 고온의 플라스마를 토카막 내부에 닿지 않게 공중에 띄워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 KSTAR 이전에 유럽과 일본 등에서 상온 자석으로 ... ...
- [스쿨리포트 A+ ] 과학시간 야외 관찰, 교내 암석 보물찾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반응합니다. ‘교내 암석 보물찾기’ 수행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이와 같은 대표적인 암석의 기본적인 특징과 생성 과정을 명확하게 학습해야 합니다. 과학교사의 TIP ❹ 좋은 평가 받으려면? 도시에 지어진 학교들을 보면 건물 외벽, 교문, 교실 바닥과 선반 등에 화강암을 많이 이용한 ...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상용화 시점을 30년 뒤인 2050년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현재의 핵융합 연구자를 대표해 미래의 핵융합 연구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무엇인가요? 지금까지 핵융합 에너지는 ‘꿈의 에너지’라고 불려왔습니다. 꿈처럼 행복한 미래 사회를 만들어 준다는 뜻도 있겠지만, 꿈속에서만 존재할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