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d라이브러리
"
미국 항공 우주국
"(으)로 총 1,488건 검색되었습니다.
ISS를 신나는 '과학교실'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장면이다. 이 수업은 8월 9일 발사된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우주왕복선 엔데버에서 이뤄졌다. 수업을 듣기 위해
미국
아이다호의 디스커버리센터에 모인 학생들은 우주인 교사의 재미있는 수업에 웃음을 참지 못했다.22년만에 이룬 ‘우주수업’의 꿈 이 수업을 준비한 바바라 모건은 최초의 교사 ... ...
우주왕복선의 열손상 대처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바깥쪽에 있는 행성을 탐사하기 위하여 NASA(
미국
항공우주국
)가 발사한 행성 탐사기 보이저 2호는 1977년 8월 20일에, 1호는 9월 5일에 발사되었다1호는 지름길을 취하여 동년 7월에 목성에 접근했는데, 목성의 클로즈업 사진과 자기장이나 입자의 정보를 보내 왔다또 목성의 줄무늬라든가 갈릴레이 ... ...
PART2 양자역학과 상대론 검증하는 우주실험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중력파를 측정할 계획이다. 유럽
우주국
과
미국
항공우주국
은 지구 궤도에 3개의 위성을 띄워 중력파를 검출하려는 프로젝트(LISA)를 진행하고 있다. 각 위성 간의 거리가 500만km로 지구반지름의 780배에 이른다. 기본 원리는 LIGO와 같다. 즉 한 위성에서 다른 두 위성을 향해 레이저빔을 보내고 두 ... ...
태양계 기원 밝힐 탐사선'돈'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이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로 탐사선 ‘돈’을 발사한다. 이온추진로켓을 쓰는 돈은 소행성인 세레스와 베스타 주위를 선회할 예정이다. 과학자들은 46억년 전에 성장을 멈춘 두 소행성이 태양계 기원의 비밀을 간직하고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북반구의 열대 대양상에서 ... ...
한국에'인공태양'이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강행하며 세계 평화의 꿈을 산산조각 냈고, 12월,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이 쏘아올린 목성탐사선 갈릴레오는 인류역사상 처음으로 목성의 대기권 자료를 수집하는데 성공하며 우주를 향한 인류의 오랜 꿈을 이뤘다. 그리고 같은 시기 한국은 ‘인공태양’을 향해 원대한 꿈을 꾸기 시작했다. 새로운 한 ... ...
피스토리우스의 올림픽 출전을 둘러싼 논란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대표적인 예이다1958년 10월 2일에 발족한
미국
최초의 유인위성 발사계획
항공우주국
(NASA)의 탄생과 함께 착수되었다직접적인 계획의 목적은 소련의 우주비행을 앞지르려는 것이었으나, 실제로 소련을 앞지르게 된 것은 다음 단계인 제미니 계획 후반부터였다이 계획의 목적은 우주를 비행할 때의 ... ...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차세대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허블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JWST)의 모형이 공개됐다. 2013년 6월에 발사될 JWST는 허블우주망원경보다 훨씬 큰 반사경을 갖고 있어 우주를 더 자세히 관측할 수 있다. ...
날아다니는 과학상자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경험이 있을지도 모른다. 뉴밀레니엄을 맞으며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과학자들은 “지구 표면에서 우주궤도까지 올라갈 수 있는 어마어마한 높이의 엘리베이터 탑을 건설하겠다”는 포부를 밝혔고, 영화 ‘찰리와 초콜릿공장’에서 초콜릿재벌 윌리 윙카는 구름 속을 뚫고 나는 유리 ... ...
우주기네스북 한판 대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더 뜨거운 행성을 만날 수 있다. 지난 5월 초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적외선 우주망원경 스피처가 우주에서 가장 뜨거운 행성 HD149026b를 포착했다고 발표했다. 지구에서 헤르쿨레스자리 방향으로 256광년 떨어져 있는 이 행성은 무려 2040℃까지 올라간다. 이는 금성 표면보다 4배 이상 뜨거운 온도다. ... ...
캐나다인이
미국
인보다 가벼운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스미스소니언센터의 마크 타미시아 박사팀은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쌍둥이 관측위성 ‘그레이스’(GRACE)를 이용해 캐나다의 중력 변화를 측정하는데 성공했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5월 11일자에 발표됐다.약 2만년 전 북아메리카 대륙은 ‘로렌티드’라는 거대한 빙하로 덮여 있었다.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