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사람을 대신하는 AI 비서의 세계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데이터에 따라 변하는 값이지. 또 각각의 확률 모형을 설정하기 위한 변수를 Y로 써
볼
게. AI가 알고리듬에 적용된 확률 모형을 학습한다는 것은 데이터 X를 가장 잘 설명하는 Y를 찾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어. 확률론을 연구하는 학자를 ‘빈도주의자’와 ‘베이즈주의자’로 구분해. ... ...
확률형 아이템 논란, 득템이 어려운 진짜 이유는?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잘 모르는 친구들을 위해 슬롯머신을 돌려 원하는 선물의 조합을 찾는다고 가정해
볼
게요. 사람들의 선물 선호도가 10만 원 > 5만 원 > 연필 > 지우개 순이라면 이중에서 3가지를 뽑을 때 사람들은 ‘10만 원-10만 원-10만 원’ 조합을 가장 원할 겁니다. 그런데 유독 ‘10만 원-10만 원’이 나오면 나머지 ... ...
[긱블x과학동아] 패턴 따라 다른 소리 나는 '바코드 연주기'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민바크 님이 오랜만에 오실로스코프를 꺼냈습니다. 오실로스코프는 전압의 변화를
볼
수 있는 장비입니다. 꿀렁꿀렁이는 전압 변화가 그대로 화면에 나타나죠. 납땜 지점 하나하나에 오실로스코프를 청진기처럼 대보면서 바코드 모양에 따라 전압도 변하는지 살펴봅니다.그런데 이게 영 판단하기 ... ...
[시사과학] NAVER ‘실검’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이 같은 결정을 내렸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이어 “이용자가 모든 정보를 다 찾아
볼
수 없기 때문에, 실검이 이용자에겐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중 하나라는 측면에서 폐지한 것이 아쉽다”고 덧붙였죠.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발히 교육하고 있는 창진초등학교 김지훈 교사는 “실검은 사회 ... ...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천문도가 담겨 있다. 국립고궁박물관 홈페이지 왕실 문화 아카이브에서 해당 문화재를
볼
수 있다. 한 실장은 “문화재에는 정말 다양한 흥밋거리가 있는데 더 많은 후손들이 문화재 속에서 자신의 관심사를 만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 실장이 기증을 하게 된 또다른 이유는 필름이 빛과 온도, ... ...
밥이 보약이 될수 있다? 식품 광고 대해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신체의 기능 향상을 돕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쉬운 이해를 위해 예를 들어
볼
까요. 알로에 겔은 건강기능식품에 들어가는 기능성 원료입니다. 이 원료의 기능은 ‘장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이라고 식약처가 인증했죠. 하지만 만약 장 점막에 염증이 생기고 설사를 한다면 ‘장 건강 ... ...
가깝고도 먼 친척 인류...수수께끼 속 인류 데니소바인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온전한 두개골 화석이나 많은 DNA가 발견돼야 데니소바인의 진짜 얼굴을 만나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현재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에서는 데니소바인 화석 찾기 프로젝트인 ‘파인더(FINDER)’를 진행하고 있다. 첨단 연구방법을 동원해 아시아에서 데니소바인을 찾는 프로젝트로 2017년 ... ...
[기획] 2021년 아벨상 수상자의 공통점은 아들?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수학 분야를 컴퓨터 보안에 적용했습니다. 바로 ‘영지식 증명’입니다. 아래 그림을
볼
까요?하지만 이때의 실험 과정을 녹화해 제3자에게 보여준다고 해도 여자아이가 열쇠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증명하기 어렵습니다. 두 아이가 미리 어느 통로로 나올지 정했을 수도 있기 ... ...
[IBS×수학동아] 나의 삶, 나의 수학 그래프로 연결하는 세상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2007년 논문이 조합론저널B에 출판됐습니다. 박사 학위 논문의 은 이때의 결과 덕분이라고
볼
수 있죠. 2010년 받은 대한수학회 논문상도 마찬가지고요. 망설이지 않고 먼 거리를 떠나 다른 나라의 수학자와 했던 소통이 수많은 성과로 나타났던 중요한 경험이었습니다. 코로나19로 다른 수학자와 해외 ... ...
[SF 소설] 생명의 노래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모습을 보이지 않는 건 노래의 주인공이 아니었다. 그 반대였다. 노래의 주인공은 흔하게
볼
수 있었다. 다만 대단히 조심스러운, 게다가 새끼를 키우느라 극도로 예민한 육식동물이 사냥과 교육의 현장을 인간에게 보여주지 않았던 것이다. 구애의 노래라는 추측은 틀렸지만, 어떻게 보면 생명의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