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가까운 은하만 이런 구분이 가능했다. 별과 성단의 진화를 연구하는 항성진화 분야도 수천만 광년의 우주에 갇혀(?!)있었다. 제임스 웹의 대발견과 함께 머나먼 우주 끝자락도 항성 진화를 연구하는 천문학의 새 무대로 떠올랐다 ... ...
-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과학고등학교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학생은 과학고에도 있습니다. 제가 제안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➀수업 시간 중에 가능한 한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당일에 이해한 내용을 정리합니다. ➁이해가 안 된 내용은 선생님께 묻거나 친구의 도움을 받아서라도 반드시 정리합니다. ➂문제집 하나를 선택해 진도에 맞춰 ... ...
- [SF소설] 조이풀 데이즈 비하인드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미연은 제가 좋아하는 이들을 데려와 합의점에 따라 조정했고, 그리하여 4차원 인간은 다수가 되었으며 무리 없이 서로 사귀게 되었다. 특혜는 전혀 아니었다. 4차원 인간의 번식도 한 차원 강등되었으니까. 그러나, 그래서 3차원이었다. 하여 지금 신행성의 클론들은 모두 4차원 인간으로 정의된 ... ...
- [만화뉴스] 다리가 늘어날수록 빨라진다? ‘지네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5월 4일,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 외 공동 연구팀은 거친 표면 위에서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지네 로봇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로봇의 다리 수를 6개 ... 다니엘 골드만 연구원은 “지네 로봇은 수색이나 구조, 화성 탐사 등 극한 환경에서 쓰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
- [가상 인터뷰] 초파리 장 세포에서 새로운 세포 소기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새로 발견된 인산염 저장 소기관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걸 뜻하지. 노버트 페리몬 교수는 “인간을 포함한 다른 동물들에게도 인산염을 저장하는 소기관이 있는지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어. 용어 설명*μm(마이크로미터) : 1m(미터)의 100만분의 1에 해당하는 길이의 단위 ... ...
- 생명체의 가능성을 품은 뉴 골디락스 존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지구의 깊은 해저는 빛이 도달하지 않는 적막하고 어두운 공간입니다. 하지만 열수구● 주변엔 다양한 생명체가 살아 숨쉬고 있죠. 두꺼운 얼음 ... 천왕성 위성인 우라노스의 내부에도 바다가 있을 거라는 연구를 발표했답니다. 용어 설명*열수구 : 심해저에서 뜨거운 물이 분출되는 구멍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어린이를 위한 디지털 경제생활 안내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디지털 세계에서도 안전하고 재미있는 공공 어린이 놀이터가 많아지기를 바랍니다. 그럴 수 있도록 어린이 스스로 관심을 기울이고 함께 목소리를 내도록 해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이쑤시개는 균형잡기의 달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수분이 거의 없지요. 이때 부러진 부분에 물을 떨어뜨리면 마른 섬유질이 물을 흡수하고, 물은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퍼져나가요. 그 결과 마른 섬유가 팽창하며 꺾인 부분이 펴지고, 별이 만들어지는 거예요 ... ...
- [찰칵! 전시회] 맛있는 건 나누고, 달콤함은 곱한다! 과자 선물세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쿠키, 마카롱, 젤리…. 과자 상점에서 이 세상의 모든 달콤한 과자들을 예쁘게 담아 선물세트로 만들어 드려요. 사랑하는 가족, 친구들에게 선물할 과자를 얼른 포장하러 가볼까 ... 한 상자에 뼈다귀 과자 4개, 물고기 과자 5개씩 담으니 총 5개의 상자에 나눠 담을 수 있어요 ... ...
- [똥손 수학체험실] 구구단을 외자~! 아니, 구구단을 돌리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인도에서는 11단, 12단, …19단까지 외우기도 하지요. 네 자리 수, 다섯 자리 수처럼 더 큰 수를 곱할 때도 도움이 돼요. 그럼, 놀이를 통해 19단까지 익숙해지는 돌림판을 한번 만들어 볼까요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