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상자
당첨자
수상작품
입상작품
계관 시인
d라이브러리
"
수상자
"(으)로 총 1,064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위원회가 밝힌
수상자
결정이유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받게된다. 두 사람의 이번 수상으로 IBM쮜리히연구소는 86년에 이어 연달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를 배출하게 됐다.■화학상-페더슨·크램·랭87년도 노벨화학상은 미국인 찰스 페더슨(83) 도널드 크램박사(68)와 프랑스의 장마리 랭 박사(48)등 세명이 공동 수석하게 됐다.스웨덴 한림원은 이들이 ... ...
베트노르츠 "구름위에 떠 있는듯한 기쁨"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배출한 IBM 쮜리히연구소는 축제분위기로 가득찼다. 이 연구소 연구원 2백여명은
수상자
발표당일 연구소내 카페에 모여 수상을 축하하며 축배를 들었다 ... ...
이공계 대학, 어떤 학과를 선택할 것인가 기초과학분야가 전망 밝아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경우에는 이런 방법이 좋을 겁니다. 장래를 섣불리 결정하지 말아야현-어느 노벨상
수상자
가 회고록에서 이렇게 쓴 것을 보았읍니다. 대학을 졸업하고 하버드대 대학원에 지원했는데 입학을 거절당해, 할 수 없이 인디아나대로 갔다는 거지요. 그런데 여기서 노벨상을 받은 훌륭한 교수 밑에서 ... ...
남자와 여자의 뇌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있다.뇌는 좌우의 반구에서 기능을 분담하고 있다는 것이 81년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스페리'(Roger Wolcott Sperry, 1913~ )박사의 연구로 발견되었다. 그에 따르면 우뇌는 도형·공간인식 이나 창조성 직관적 사고등을, 좌뇌는 언어기능이나 논리적 사고 계산등을 담당하고 있다한다.그것은 우뇌가 ... ...
도네가와박사 "일본인으로서 수상했다는 사실에는 아무 감회도 없다"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일본인으로서 일곱번째 노벨상
수상자
이며 생리및 의학부분에서는 첫번째 수상 기록을 세웠다. 그는 일본에서 대학을 졸업한뒤 20년이상을 유럽과 미국에서 면역학연구에 몰두해 왔다.1939년 나고야에서 큰 방적회사 공장장을 지낸 비지니스맨의 차남으로 태어난 도네가와박사는 교토(京都)대 ... ...
초전도 물질의 실용화에 돌파구 열어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들의 업적은 고온(高溫) 초전도물질을 새로 개발해 내어 초전도 물질의 폭넓은 실용화를 위한 돌파구를 열었다는 점이 인정된 것이다.뮐러와 베트노르츠박사는 란타늄(La) 바륨(Ba) 산화구리(CuO) 라는 세라믹 재료를 이용해 절대온도 35도(섭씨 영하 2백38도)에서 초전도현상이 ... ...
노벨상
수상자
결정에 잡음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옮겨지게 하는 것이 올바른 전략이라고 하겠다. 그렇게 되면 자연히 한국에서도 노벨상
수상자
들이 나올 것이며, 그것도 한명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스승-제자 관계라는 연쇄작용을 통해서 계속 배출될 것이다.노벨상은 매스컴의 대대적인 선전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과학연구를 ... ...
박봉렬/물리학 물리학은 모든 문학의 기초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월 하순의 어느 오후 유가와 연구실에서 윤강을 하고 있는데, 스승 유가와 교수가 노벨상
수상자
로 결정되었다는 소식을 신문사로부터 전해 들은 일이다. 그때 우리는 모두 "와―"하며 박수를 친 뒤 다시 윤강을 계속했다. 그때 일본은 제2차 대전의 패전국이었다. 이 소식은 패전 일본인들에게는 ... ...
물리학의 세계적 권위 케임브리지대 카벤디시 연구소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실험장비 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자유스런 연구기회의 부여 못지 않게 노벨상
수상자
를 많이 배출한 중요한 이유중의 하나는 과학자 상호간의 대화가 강조된다는 사실이다. '실험실에만 틀어박혀 있으면 발전이 없다'는 게 이 연구소의 오랜 전통에서 얻어진 결론이라는 것이다. 서로 다른 ... ...
난청분야의 세계적 권위 전성균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미네소타대학교에 정착해 20년째 교수생활을 해오고 있다. 지난 84년에는 노벨의학상
수상자
를 선정하는 것으로 유명한 스웨덴의 '카롤린스카' 연구소에서 객원교수로 연구하기도 했다.-오랜 세월동안 외국에서 연구생활을 계속하면서 느끼신 보람이라면 어떤 것이 있읍니까?"처음엔 1년동안만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