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치"(으)로 총 2,073건 검색되었습니다.
-
- 1부. 아름다움의 비밀은 수학!수학동아 l2010년 01호
- 목조 건물인 한옥은 세월이 지나면 변형됩니다. 측정할 때도 오차가 생기기 때문에 현재 수치가 정확히 구고현의 정리와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한옥은 건축물이기 앞서 하나의 예술품입니다. 집을 짓는 목수에 따라 다른 비율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목수마다 선호하는 비율이 따로 있기 ... ...
-
- 미래 대 예측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위원회(IPCC)가 제시한 21세기 말 최악의 온실가스 시나리오 농도인 1260ppm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만약 온실가스 농도가 이렇게 높아지면 요리의 재료인 동물은 물론, 먹을 사람까지 멸종한 뒤일 가능성이 높다.제주도가 아름다운 산호 섬으로?2008년, 우리나라 국립해양조사원은 지금처럼 온실가스를 ... ...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2009년 12월 현재 목성의 위성은 62개로 불어났다. 이는 토성의 위성 개수와 같은 수치다. 위성의 이름은 행성과 연관된 신화의 이름으로 정한다. 발견된 뒤 국제천문연맹에서 공식적으로 확인해 이름을 붙이기 전까지는 발견된 연도와 목성의 영문이니셜(J)에 일련번호를 붙여 표기한다. 예를 들어 2003 ... ...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도요타의 파트너는 50kg이 넘는다. 다시 지루한 과정이 시작됐다. 연구해 뒀던 모든 수치를 다시 계산하고, 일일이 실험해 보는 수밖에 없었다.이 과정에서 조 박사는 새로운 기능을 개발해 넣었다. 휴보2가 안정적으로 달릴 수 있는 이유 중 하나인 중심회복 능력이다. 달리던 휴보2를 앞이나 뒤에서 ... ...
-
- CSI 수사체험 ‘지문을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01호
- 하는데 이렇게 뽑아낸 특징점들의 상대적인 위치, 그들 사이의 거리를 수치화해서 일치하는 지문을 찾아내는 것이다.보통 현장에서 채취한 지문은 희미하고 불명확한 부분이 많으므로 이를 선명하게 만드는 영상처리과정이 선행된다. 간혹 어린이에서 어른으로 성장하면서 지문의 크기가 달라지지 ... ...
- 지식과 논리 갖춘 창의력이 관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중요하다. 예를 들어 대조군 설정이나 종속변인에 대한 고려가 잘 이뤄졌는지, 수치, 수식, 비율 등 정량적인 방법으로 답안이 정확히 표현됐는지를 평가한다. 독창성 항목은 얼마나 새롭고 개성적 문제해결 방안을 제시하는지를 평가한다. 이렇듯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에는 다양한 평가 항목이 ... ...
-
- ① 수학 잘 하면 탄소 줄인다.수학동아 l2009년 12호
- 마련된‘운동계수’가 있다. 몸무게 1kg에 대해 15분동안 운동했을 때 소비하는 에너지를 수치화한 것이다.15분 동안 소비한 에너지(kcal) = 운동계수 × 몸무게(kg)몸무게가 50kg인 사람에게 이 공식을 적용하면 15분 동안 보통 속도로 걸을 때 45kcal의 에너지를 소비한다. 같은 시간동안 달리면 100kcal, ... ...
-
- 수학을 알면 음악이 즐겁다.수학동아 l2009년 12호
- 한다고 기술한 바 있다. 불협화음까지 적절히 사용해서 한 곡을 만들면 천문학 연구에서 수치해석 프로그램 하나를 잘 짠 것만큼 즐거웠다.필자는 불협화음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잘 모르지만 ‘달밤’과 같은 곡을 만든 적도 있었다. 음악의 길은 끝이 없지만 즐겁기만 하다. 근세에 이르러 ... ...
-
- 자선냄비는 곱셈의 마음수학동아 l2009년 12호
- 1만 원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직 참여율이나 기부액이 선진국 수준에 못 미치는 수치입니다.더불어 사는 삶으로 이끄는 나침반 우리는 자선냄비의 모금활동을 통해 나누는 행위가 얼마나 소중하고 의미있는 일인지를 깨닫게 됩니다. 나눔은 거창한 것이 아닌 ‘생활 속의 작은 ... ...
-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와 근삿값과학동아 l2009년 12호
- 키 160cm, 몸무게 52kg, 신발 크기 265cm 등과 같이 예를 들자면 한이 없다. 그런데 이런 수치는 두 가지 특징이 있다.첫째, 이것은 측정값이라는 점이다. 우리 주변에는 측정이 필요한 수많은 대상이 있고, 인류는 이 양을 나타내기 위해 수를 생각해 냈다. 둘째, 측정값은 정확하지 않은 대강의 값인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