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스템"(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갖다 대야 문이 열리는 경우가 많아 이동에 제약이 있다. 고카트는 건물 전체 제어 시스템과 연동이 가능해 자동문을 열거나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뒤 원하는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러 층을 오가며 자율주행할 수 있어 복층 구조의 병원과 호텔, 공항 등에서 특히 유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기념해 이산가족에게 뜻 깊은 선물을 주고 싶다며 필자에게 연락했다. 당시 몽타주 시스템을 완성해가던 중이어서 정신없이 바빴지만 이 기술이 좋은 일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에서 흔쾌히 지원하기로 했다. 대한적십자사가 이산가족을 대상으로 사진을 모으고, 사진의 해상도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딥마인드 : 알파고 제로는 스스로가 교사가 되는 새로운 형태의 강화학습을 합니다. 시스템은 바둑 게임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신경망으로 시작합니다. 알파고 제로는 이 신경망을 강력한 검색 알고리즘과 통합해 자체적으로 게임을 반복합니다. 게임을 할수록 수의 이동과 게임의 승률을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협업이 활발해지면 연구의 질은 자연스럽게 올라간다. 슈투트가르트 막스플랑크 지능시스템연구소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는 손광효 박사는 “막스플랑크연구소에서는 필요한 장비가 있으면 언제든 협업을 요청한다”며 “정량적 평가 방식을 고수하는 연구소의 경우 향후 평가에서 자신의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1950년대 말부터 응용물리연구소에서 일하면서 미국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위성항법시스템(NNSS)의 개발 책임자로 일했습니다. 커쉬너 박사는 본인이 찾은 3가지까지 합쳐서 총 8가지가 볼록오각형으로 테셀레이션할 수 있는 방법의 전부라고 주장하며 이를 정리로 만들었습니다. 그 증명은 다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무기 중에는 두창 바이러스가 여기에 속한다. 1층에는 폐수의 독을 제거하는 폐수 제독 시스템이, 2층에는 압력이 높은 증기를 이용해 멸균하는 장치가, 3층에는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헤파필터가 설치돼 있다. 북한은 생화학 무기를 개발하기 위해서 이와 유사한 시설을 갖췄을 것으로 추정된다 ... ...
- [Culture]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간의 마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명상을 연구하고 KAIST 학생들을 대상으로 명상 수업을 했다. 또한 세계적인 온라인 교육시스템인 ‘코세라’에서 세계인을 대상으로 명상 강좌인 ‘인간완성을 위한 자아성찰, 공학적 구현’을 진행했다. 이 강좌를 통해 명상을 체험하고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다는 e메일이 전 세계에서 날아 ... ...
- [과학뉴스] 종이접기로 만든 로봇 팔 트위스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종이접기 방식으로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로봇 팔이 개발됐다. 이기주 미국 케이스 웨스턴리저브대 기계항공공학과 교수팀이 만든 ‘트위스터’다. 트 ... 결과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와 일본 로봇공학회(RSJ)가 공동 주최한 ‘국제 지능로봇시스템 콘퍼런스’에서 9월 27일 발표됐다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가스레이저는 10kW의 출력을 내는 데 도서관 책장 크기의 거대한 출력 시스템을 요한다. 전투기는 물론이고, 초인적인 힘을 가진 슈퍼맨에게도 부담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광섬유를 사용해 레이저 발생기의 크기를 줄이고 출력 효율을 높이는 연구가 활발하다. 필자가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다른 관측소와 달리 한국 연구팀은 남반구 전역에 수평으로 걸쳐진 네트워크 관측시스템을 이용한 만큼 관측에 훨씬 더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 특히 하나의 천체를 24시간 연속으로 관측할 수 있는 KMTNet의 조밀한 관측 자료는, 킬로노바의 밝기 변화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