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d라이브러리
"
유전자
"(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유전자
를 찾아라! 아인슈타인 프로젝트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또한 수학
유전자
가 있다면 물리 천재
유전자
, 천재 신문 기자
유전자
, 대통령
유전자
도 있어야 합니다. 결국 이 프로젝트는 과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답니다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이야기지. 앞에서 한
유전자
이야기를 떠올려 보렴. 사람이 오래 살면 살수록 오래 사는
유전자
가 ‘자연선택’될 가능성이 높지 않겠니?구석기 시대 사람들을 생각해 보렴. 그 때는 수명도 짧고 자연의 위험을 그대로 받아 안던 시기라 빨리 아이를 낳았어야 했지. 지금 네 엄마 나이의 사람들에게 ... ...
[과학뉴스] 오후 잠 쫓는 ‘카페인’ 비밀 풀리나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카페인
유전자
는 초콜릿이나 홍차의 카페인
유전자
와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이
유전자
가 진화 과정에서 최소 두 번 각기 따로 나타났다는 뜻이다.커피는 1만1000종에 달하는 종이 포함된 ‘꼭두서니과’ 식물 중 하나다. 이 과에는 말라리아 약인 ‘키니네’를 생산하는 식물 등 유용한 종이 ... ...
PART1.전염의 시작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영원히 죽이지 않고 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제서야 에볼라 바이러스가 자신의
유전자
를 더 많이 퍼뜨릴 수 있게 진화한 셈이다.에볼라는 어떻게 지금처럼 진화한 걸까. 돌연변이를 일으켰을 가능성이 높다. 독일 베른하르트 노치 병원의 스테판 군터 박사팀은 서아프리카 에볼라 바이러스의 DNA ... ...
[가상인터뷰] 손가락 형성의 비밀, 수학으로 풀다!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다른 단백질들의 신호 전달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죠. 여기서는 손가락 형성과 관련된
유전자
들을 활성화하겠죠?샤프 교수님, 그럼 교수님이 만든 수학 모델이 실험적으로도 입증이 된 건가요?제임스 샤프 교수 : 우리 연구팀은 손끝 조직을 배양시켜, 실제로 만들어지는 패턴과 연구팀의 모델로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아직 일러플라스미드 백신의 원리플라스미드 백신의 원리 플라스미드에 에볼라
유전자
를 넣어 에볼라 항체 생산을 유도한다. 에볼라의 RNA를 추출한다. 에볼라 RNA로 이중가닥 DNA를 만든다. 에볼라 DNA를 가진 재조합 플라스미드. 플라스미드를 박테리아에 넣어 대량생산한다. B세포 중 일부는 ... ...
자살 알려주는 혈액 검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유전에 의한 것이 아니라 메틸기가
유전자
에 달라붙어
유전자
의 활성을 조절하는 메틸화 작용(후성유전)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연구팀은 실제 예방에 쓰일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325명의 혈액을 분석해 메틸화 여부를 확인했다. 그리고 자살을 생각하고 있는지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반원은 인간의 염색체이고, 위 반원은 해당 동물의 전체 유전체(게놈)다. 선은 비슷한
유전자
끼리의 연결선이다. 진화적으로 가까운 대상과 보다 많은 염색체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래는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생물학자 에르네스트 해켈의 생명의 나무. 다윈의 영향을 받았다 ...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그런데 이 장치의 신뢰도는 95% 이상이다. 바꿔 말하면 5% 이하로 오진 확률이 있다.
유전자
전체를 검사하는 게 아니라 특정 부위만 검색하기 때문이다. 김상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러스감염대응연구단장은 “시료가 훼손됐을 때나 초기감염처럼 바이러스 양이 적을 때는 정확하지 않을 수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뒤섞기도 하고, 변이도 그만큼 쉽게 일어난다. 반면 에볼라는 복제 과정에서 8개
유전자
가 함께 움직인다. 에볼라에서 ‘대변이’가 드문 이유다.김 단장은 “치료제와 백신을 개발하게 되면 상당 기간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면서도 “에볼라를 박멸하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인류 역사상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