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 1지"(으)로 총 3,58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루비와 사파이어 바람이 부는 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평균 온도가 높아(1926℃ 이상) 철이 녹아 광물이 될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관측된 아름다운 행성의 모습도 이를 뒷받침해준다.논문의 제1저자인 암스트롱 연구원은 “태양계 바깥의 거대한 가스 행성에서 날씨를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외계 행성의 대기 변화를 연구하면 ... ...
-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외부은하 탐사자료를 활용해 근처 우주 물질이 실제로 균일하게 분포해 있는지 알아보려는 시도가 여럿 ... . 이때 균일한 분포란, 구가 커질수록 반지름의 세제곱에 비례해 은하 개수가 증가하는 이상적인 분포를 ... 규모부터 은하 분포가 균일한지 알 수 있다. 실제로 밝고 붉은 SDSS 은하들로부터 1 ... ...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페르미는 한 행사에서 자신의 제자인 에토레 마요라나를 이렇게 ... 실험 결과를 해석해 제임스 채드윅보다 먼저 중성자의 ... 논문으로 출판할 것을 제안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고, ... 데 소극적인 사람이었다. 문제를 풀고도 거기에 자신의 흔적을 ... 뒤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제안하는 논문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오면 혜정 씨가 몰래 제일 짧은 걸 하나 ... “대학생이에요?” 제 면접 복장이 그렇게까지 ... 혜정 씨와 먹는 점심은 언제나 즐거웠다고, 꼭 말하고 ... 거짓말을 하기 싫어요. 제가 과학관에 보낸, 아파서 ... 이후 돌아가지 않았는지, 제대로 설명하려면 대학 때 ... 해야 할 것 같 ...
- [현장취재] 2016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우리는 모두 시민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규모는 커지고!“1년 동안 비가 와도 폭염 주의보가 내려도 언제나 탐사를 하러 밖으로 나갔어요. 힘들었지만 이렇게 좋은 ... 2300여 명이 참여해 사상 최대의 규모를 자랑했어요. 또 제비 탐사와 민물고기 탐사가 추가되면서 탐사 생물이 총 6종으로 ... 특별한 상도 눈에 띄었어요. 바로 ‘수원 ... ...
- [가상 인터뷰] 돌도끼를 만드는 원숭이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숲에 사는데, 물을 마시거나 먹이를 구하러 갈 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시간을 동료들과 함께 나무 위에서 보내요.제가 좋아하는 먹이는 견과류와 딱정벌레예요. 단단한 껍질이 있는 먹이도 문제 없어요. 나무 둥치에 껍질을 부딪쳐서 깨 먹을 수 ... 영국 옥스퍼드대, 런던대, 브라질 상파울루대 ... ...
- [특별 인터뷰] 아마엘 볼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양서류 연구를 시작할 때 특별한 이유가 있었던 건 아니에요. 대학원에 진학했는데, 연구 주제로 개구리나 하마 중 선택해야 했어요. 둘 중 개구리 연구를 하면 현장연구를 할 수 있어서 ... 됐고, 알면 알수록 좋아졌지요.”아마엘 볼체 연구원이 우리나라에 온 건 2012년이에요. 당시 제주도에서 열린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서서히 드러나는 비밀과학집단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조심스레 쪽지를 펴 보았어요.“이건 거울을 비추면 제대로 볼 수 있는 거울문자야!”파부르가 서둘러 거울을 ... 소화기의 경우 통 안에 압축된 질소 가스와 함께 ‘제1인산암모늄’이라는 가루가 들어 있어요. 이 가루를 ... 산소가 있기 때문에 불이 날 수 있답니다. 실제로 1997년 우주정거장 ... ...
- [가상 인터뷰] 우리의 먼~ 친척, 안경원숭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세계에서 가장 작은 영장류지요. 유리구슬처럼 영롱한 제 눈이 툭 튀어나온 이유는 안구를 감싸는 뼈인 ‘안와’에 비해 ... 기둥 사이를 뛰어다니고, 밤에도 나무 위에서 웅크리고 잠들지요. 제 두 번째, 세 번째 발톱이 갈고리 모양으로 길게 자라 있어 나무 ... 큰 도움이 돼요. 넌 원숭이와 인간의 ... ...
- Part 2. 복잡하고 큰 집이 좋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연구 결과가 발표되자 저는 단숨에 갯벌 건축왕 후보가 됐답니다.제가 지은 서식굴은 최대 2m 깊이로, 굴의 전체 길이가 평균 8.6m에 달해요. 굴의 부피는 최대 18L 이상이에요. 제 서식굴에 1L짜리 우유를 18개 이상 부을 수 있는 거예요! 저의 몸집과 비교하면 약 3000배나 된다니, 저를 갯벌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