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기억력을 높이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명령 훈련만이 아니라 더 높은 수준의 학습을 통해 게임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
지난
2월 발표했지요. 연구팀은 먼저 요크셔종 돼지 2마리와 파네핀토종 돼지 2마리에게 게임에서 방향을 조절할 때 사용하는 도구인 조이스틱 사용법을 가르쳤어요. 조이스틱으로 모니터 속 커서를 움직여 ... ...
[에디터노트] 환경 특집호를 시도하며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지구공학’ 분야의 첫 자연 실험이 될 것으로 주목받던 미국의 ‘스코펙스’ 실험이
지난
4월 논란 끝에 연기됐습니다. 이 기술에 대해서는 여러 비판이 있는데요. 이번 기사에서는 기후변화 유발 책임이 적은 국가나 지역에 특히 더 피해를 줄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 ...
사람 발길 닿지 않는 곳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인공위성 관측 기술이 향상됐고, 더 정확하고 세밀하게 나뉜 자료들이 나왔다.
지난
해 6월 미국 내셔널지오그래픽협회(NGS)와 미국 매릴랜드대 연구팀은 인간발자국을 포함한 4개의 통합자료를 토대로 인간의 영향을 나타낸 지도를 만들었다(위 이미지, 46~47쪽 지도). 그 결과 지구의 절반 정도가 ...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논쟁, ‘투명성’에 주목해야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4와 삼중수소는 ALPS로 제거할 수 없다. 전하를 띠지 않는 물질은 흡착되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
해 3월 기준으로 C-14의 평균 농도는 환경방출기준인 리터 당 2000Bq보다 훨씬 낮은 54Bq로 그대로 방류할 수 있다. 문제는 삼중수소다. 오염수의 삼중수소는 리터 당 73만Bq 수준이다. 일본의 삼중수소 ... ...
빨간 궁금증이 있다면 월경상점으로 오세요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오갔다. 모녀가 떠나고 김민지 월경에디터가 다가와 말했다.“초경을 시작한 지 1년 정도
지난
학생인데, 어머니께서 앞으로 30년 넘게 월경을 할 딸에게 좋은 월경용품을 소개해주고 싶어서 오셨대요. 제가 어렸을 때는 탐폰을 쓰겠다고 하면 몸에 그런 거 넣으면 안 된다고 혼나기까지 했는데, 이럴 ... ...
[이달의 과학사] 1910년 3월 5일 즉석 라면의 발명가 안도 모모후쿠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컵에 들어있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컵라면을 발명한 것도 그였죠. 안도 모모후쿠는
지난
2007년 1월 5일, 96세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매일 라면을 먹었다고 합니다 ... ...
[기획] 순간 포착! 빛이 번쩍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지상의 뇌운에서 더 높은 대기를 향해 치는 번개나 섬광을 고층대기에서 관측하기 위해
지난
2018년 국제우주정거장에 특수고속카메라인 고층대기번개 관측기(ASIM)를 설치했어요. 그리고 2019년 2월 나우루 섬 주변 남태평양을 가로지르는 폭풍 속에서 우연히 블루제트를 관측한 거예요. ... ...
[통합과학 교과서] 맛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나시불린 교수팀은 전자코와 전자눈을 이용해 닭고기를 맛있게 굽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지난
1월 발표했답니다. 연구팀은 닭고기를 구울 때 냄새와 색으로 닭고기의 익은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어요. 그리고 전자코에 센서를 달아 닭고기의 냄새 분자나 닭고기의 온도, 주변 습도를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회 별빛미션} 슬기로운 화성 생활작년 7월에 발사된 화성탐사선 ‘퍼시비어런스’가
지난
2월 화성에 도착했어요. 앞으로 들려올 새로운 정보들이 벌써부터 기대돼요.과학자들은 화성에서 생명체의 흔적을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어요. 2006년 화성탐사위성(MRO)는 화성에서 생명체가 ... ...
1년 동안 지구에 내리는 우주먼지는 얼마나 될까?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국제 공동연구팀은 6차례에 걸쳐 남극대륙 중앙에 위치한 ‘돔(Dome) C’ 지역을 탐사하며
지난
20년 간 지구에 도달한 우주먼지의 양을 추적했다. 돔 C는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공동으로 콩코르디아 기지를 운영하는 지역으로, 강설량이 일정하고 측정에 영향을 주는 다른 이물질이 거의 없다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