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행"(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체험실] 나와라 수학! 팝업 북 속에 도형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팝업 북은 2차원 종이를 펼치면 3차원 도형이 나오고 다시 접으면 원래대로 되돌아가는 책이다. 이 원리를 이용해 삼각기둥, 삼각뿔 등 여러 가지 입체도형이 나오는 팝업 북을 만들 수 있다. 다양한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그려 팝업 북을 만들어 보자. 툭! 튀어나오는 재미, 팝업 북 책을 펼치면 입 ... ...
- [폴리매스 미궁] 난관에 빠진 티티르와 소녀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너, 서...설마 고대어를 읽을 수 있는 것이냐? 어디서 배웠지?”“배...배워? 모, 몰라요. 그냥 알아요.” 그말을 듣자 부족장이 분노하며 큰 소리로 외친다. “그렇다면 넌 이 세상을 황폐하게 만들고 하늘로 도망쳐 버린 고대인의 후손이로구나! 세상을 망가뜨려 우리를 괴롭게 만든 죄를 물어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2년 02호
- 폴리매스 친구를 만나다! 폴리매스 홈페이지에서 열심히 활동하는 회원을 매달 한 명씩 소개합니다. 2022년 두 번째 폴리매스 인터뷰는 매스펀 ‘함께 풀고 싶은 문제’에서 열심히 문제를 내고, 최근에 한성과학고등학교에 합격한 ‘아인수타인’ 김범준 회원입니다. Q 폴리매스를 시작하게 ... ...
- 인류멸망시나리오① 3℃ 더워진 2050년, 문명이 붕괴했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녹였다. 표면 수백m 아래 녹아 있던 생물의 사체가 녹으며 메테인생성균에 의해 부패가 진행됐고, 이렇게 생성된 메테인이 표면으로 뿜어져 나왔다. 대기로 솟은 메테인은 산소와 만나 격렬히 연소하며 또 다른 온실가스, 이산화탄소를 내뿜었다. 시베리아 툰드라에서 들불이 난 지역은 2020년대엔 ... ...
- ‘시계’ 한 마디로 40년을 건너다│전미영 대표과학동아 l2022년 02호
- 기술력을 보존한다. 그리고 이를 시민과 신진 시계기술자들에게 물려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오프라인으로는 세운상가에 시계골목 팝업스토어를, 온라인으로는 빈티지 시계를 판매하고 복원하는 시계기술 큐레이션 플랫폼 ‘앙코르’를 운영한다. 과거 예지동 시계골목이 그랬던 것처럼 ... ...
- [수학자 가상 인터뷰] 수학으로 세상을 설명하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수다 :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책으로 꼽히는 ‘프린키피아’를 쓴 바로 그분이시죠! 네. 모든 물체 사이에는 서로 잡아당기는 힘이 있다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설명한 책이지요. 사람들이 제 덕분에 세상의 자연 현상을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하더군요, 하하. 저는 자연의 법칙을 숫자와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8화. 해롱호, 낯선 행성에 불시착 하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놀이북 10쪽과 함께 보세요! 지난 줄거리.샤롱가는 납치 사건이 은퇴를 위해 스스로 꾸민 일이었다고 밝히고, 마지막 공연을 마친 뒤 은퇴를 선언한다. 딱지와 용용은 해롱 호로 돌아와 다음 임무를 기다리는데 근무를 마친 딱지가 방에서 잠을 자고 있을 때였습니다. 쿵- 소리가 나더니 우주선이 ... ...
- [과학 뉴스] 개미의 아버지 ‘에드워드 윌슨’ 교수, 하늘의 별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꾸준히 알렸죠. 최근까지도 생물 다양성 보존과 환경보전을 위한 사회 활동을 활발히 진행했답니다.윌슨 교수는 생전에 “우리는 우리가 아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다”며 “자신에게 맞는 목표를 선택하고 그 길이 아무리 험난하더라도 최고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자세가 중요하다”라는 ... ...
- [가상 인터뷰] 해충이 아니라 인명 구조 바퀴벌레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많은 사람이 꺼리는 해충이야. 그런데 바퀴벌레를 인명 구조에 활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대! 그렇다면 바퀴벌레는 더 이상 해충이 아니게 되는 걸까? 과학마녀 일리가 바퀴벌레 인명 구조 현장을 다녀왔어! 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안녕하세요, 저는 인명 구조를 전문으로 하는 ‘사이보그 ... ...
- [역설의 나라 앨리스] 제2장. 모순 웅덩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1637년 프랑스의 수학자 피에르 드 페르마가 제기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무려 358년이 지나 풀렸습니다. 이 증명은 가장 어려운 수학 문제로 기네스북에 등재돼 있으며, 20세기 수학계 최고의 성과로 꼽힙니다. 하지만 역설 나라에서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거짓일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