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환
병
병환
우환
병고
근심
걱정
d라이브러리
"
질병
"(으)로 총 2,388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건강기능식품 먹으나 마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이런 궁금증을 해결한다. 1파트에서는 비타민의 역사를 되돌아본다. 과거 많은
질병
에서 사람을 구했던 비타민이 이제는 더 이상 ‘필요 없다’고 한다.2파트에서는 건강기능식품의 안정성과 효과를 짚어본다. 밥도 약도 아니라는데 어떻게 먹어야 하는지도 함께 알아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 ...
Part 1. 비타민, 추락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효과에 대한 기대가 컸던 영양소다.하지만 안타깝게도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어떤
질병
에 대한 예방 효과도 통계적으로는 의미가 없다는 쪽으로 결론 나고 있다. 한때 감기 예방을 위해 병원에서 의사가 비타민 복용을 권장하던 시절도 있었지만, 이제는 기껏해야 흡연자와 노인에게 감기 ... ...
주삿바늘 없는 독감 백신 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있다.그러나 미리 예방 주사를 맞으면 뇌염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뇌염 외에도 많은
질병
을 백신주사로 예방할 수 있다. 독감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막을 수 있고 간염 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는 백신도 있다. 최근에는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인유두종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백신도 ... ...
Part 2. 건강기능식품 돈 값 못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식사에서 부족할 수 있는 영양소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분이 들어있을 뿐
질병
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약이 아니기 때문이다.박진호 서울대 가정의학과 교수는 한 건강강좌에서 “영양소는 건강기능식품보다 원래의 식품 형태로 먹는 것이 더 좋다”며 “식사를 제대로 하는 ... ...
에너지 전쟁 손자병법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이 뿐만 아니라 수송, 제련 과정에서의 희생과 열악한 작업 환경이 일으킨 호흡기 관련
질병
의 피해를 생각하면 그 심각성은 더 부각된다그리고 우리나라는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는 나라’로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96.4%(2010년)에 이르기 때문에 환율 변동이나 산유국의 정세 변화에 민감하다. 이런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옆에 대기하고 있어 병을 퍼뜨리기 최적의 조건이기 때문이다. 국립수의과학감역원 꿀벌
질병
관리센터는 지난 5월 낭충봉아부패병에 걸린 애벌레 한 마리가 어른 벌 10만 마리를 감염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동양벌 벌통 하나에 보통 3만 마리의 벌이 있으니 최소한 근처 세 개의 벌통은 순식간에 ... ...
인류가 만든 최악의 독, 고엽제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임의대로 성장을 조절하거나, 인체의 내분비계와 세포의 활동에 영향을 주어 다양한
질병
을 일으킨다.임종한 인하대 산업의학과 교수는 “인체에서 다이옥신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다”고 말했다.강한 독이 우려돼 인체 실험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이옥신으로 암살될 뻔한 ... ...
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미라, 뒤쪽에 있는 미라가 오산 9미라다.] [미라는 수백, 수천 년 전 조상들의 생활양식과
질병
정보를 담은 과학기술 연구의 ‘보고’다. 고려대 연구팀은 국내 최고(最古) 미라로 꼽히는 학봉장군 미라를 연구해 조선 전기에는 애기부들 꽃가루를 각혈 약으로사용했으며, 당시 민물고기를 날로 먹는 ... ...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임상을 떠나 암을 연구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당시는 암이 유전자의 이상에서 오는
질병
이라는 정황증거가 많이 나온 상태였다. 발암유전자도 여럿 발견돼 있었다. 그러나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바뀔 때 일어나는 전반적인 변화는 파악하지 못한 상태였다. 특히 우리 몸에서 암이 발생하는 걸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소멸되면서 빛(감마선)을 낸다. 이 빛을 분석하면 체내 시약의 분포를 알 수 있어 암 같은
질병
을 진단할 수 있다.]우주선의 이상한 궤적같은 해 11월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의 대학원생 칼 앤더슨은 우주선의 궤적을 추적하는 실험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기존 물리학의 지식으로 설명할 수 없는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