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높이
키
해발
표고
동일 수준
godot
뉴스
"
고도
"(으)로 총 2,199건 검색되었습니다.
드론 비행하고 산소 만들고...인류의 화성 유인 탐사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5.01
진행하는 ‘하이시스(HI-SEAS)’다. 주변이 황량한 하와이 마우나로아 화산 중턱 해발
고도
약 2500m에 지어진 돔 형태의 거주지에서 4개월에서 12개월 가량 머물며 대원들의 심리 변화를 기록하고 연구하는 프로젝트다. 고립된 생활 공간 속에서 사회성이나 이기심, 이타심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 ...
반도체·소부장·감염병·탄소중립 핵심 나노기술에 2030년까지 13조원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30
시스템반도체, 화합물·전력반도체 개발 등 미래 핵심 분야의 서비스 장비와 공정역량을
고도
화하기 위해 나노팹 인프라인 KNCI(한국나노기술조정인프라스트럭처)도 구축하기로 했다. 나노팹은 나노기술 연구개발(R&D)의 실험과 시제품 제작 등을 위한 핵심 연구시설로 국내에는 나노종합기술원 ... ...
[우주산업 리포트]지구 저궤도 확보를 위한 암투가 시작됐다
2021.04.30
지구 중력에 이끌려 대기권으로 떨어지면서 불타버린다. 그보다 고작 200km 더 높은 750km
고도
에 있는 인공위성의 경우 이렇게 되기까지 150년이 걸리는 점을 보면 인공위성의 궤도가 비즈니스의 경쟁력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다. 원웹에서는 약 1200km 상공에 인공위성을 쏴올려 202 ... ...
2024년 한국형 양자컴퓨터 첫 선…대덕특구 '또다른 50년' 청사진 그린다
2021.04.30
일원화해 관리 도전적 연구개발 추진
고도
화 전략은 혁신형 및 도전형 R&D 관리체계를
고도
화하고 조기정착을 돕는 내용이 담겼다. 정부는 2019년 국가 R&D가 임무 목표 중심 문제해결형 R&D로 바꿀 수 있도록 ‘국가 R&D 혁신·도전성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이후 민간 전문가 주도로 고난도 R&D를 발굴해 ... ...
[랩큐멘터리]땅위 인공태양 실현하는 극한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1.04.29
플라스마 외에도 고온 플라스마 연구 분야에서도 기존의 진단 신호의 해석 기술을
고도
화해 플라스마의 유동과 난류, 파동, 입자 사이의 상호작용 규명에 활용하는 계획을 세웠다. 포스텍 고에너지 플라즈마 연구실 바로가기 https://youtu.be/hd1wFQl9uZ0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 ...
UAE도 화성 탐사하는 우주탐사 시대...한국 우주기술 경쟁력은
2021.04.27
개량해 2030년에는 한국형 달 착륙선을 직접 달에 쏘아 올린다는 방침을 세우고 누리호
고도
화 사업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중이다. 위성 분야에서는 정지궤도 복합위성과 차세대중형위성 등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공공통신을 위한 3.5t급 정지궤도위성인 천리안 3호가 2027년을 목표로 개발 ... ...
위성 관측데이터로 테킬라 최고급 원료 '블루 아가베' 키워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6
D·1E 호 발사에도 성공했다. 총 5기의 위성이 매번 같은 시간에 특정 지역을 지날 수 있는
고도
600km 태양동기궤도를 돌며 차 한대 크기를 구분할 수 있는 고해상도 카메라로 매일 지구를 촬영하고 있다. 이번 파트너쉽을 통해 제공되는 위성지구관측 데이터는 중남미 지역 농업 강화와 토지관리 ... ...
화성 무인 헬기 ‘인저뉴이티’ 왕복 100m 날았다...“3차 비행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4.26
초 동안 7피트(약 2.1m) 가량 옆으로 비행했다. 25일 이뤄진 3차 비행에서도 16피트(약 5m)
고도
로 날아올라 2차 비행보다 훨씬 먼 거리인 50m를 비행한 뒤 이륙 지점으로 돌아와 정확히 착륙했다. 왕복 이동거리만 328피트(약 100m)에 달한다. 인저뉴이티의 3차 비행 거리는 2차 비행 때에 비해 25배다. ... ...
15m 밖에서도 금속 표면 손끝에서 느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2
질감을 느낄 수 있다”며 “자동차나 장애인 재활, 메타버스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
고도
화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양태헌 한국교통대 교수와 김진용 텍사스주립대 교수 등과 공동연구로 진행된 연구결과는 지난달 3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에 발표됐다 ... ...
방사성 물질 이용해 ‘미세먼지 발원지’ 추적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1
특징이 있다. 중국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상당수는 먼 거리를 이동하기 위해 높은
고도
에서 부유하다 내려오기 때문에 베릴륨-7을 많이 함유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땅에서 가스 형태로 발생하는 납-214(Pb-214)와 납-212(Pb-212)은 반감기가 짧아 장거리 이동이 어렵다. 이 때문에 국내에서 발생한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