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서기
저널리스트
사무원
연예기자
연예
필자
뉴스
"
기자
"(으)로 총 43,783건 검색되었습니다.
'R&D 예산 삭감'에 불안해진 美 학계…일부 낙관론 전망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학을 비롯한 연구기관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미국 학계에 반발 움직임이 감돌고 있다. 게티이미지 제공 미국 과학계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연구 자금 삭감 압박에 맞서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17일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지난주 보스턴에서 열 ... ...
올해 신규 전문의 최대 500명…작년의 5분의1 토막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4일 오전 서울 한 대형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올해 전문의 자격시험 1차 필기시험에 합격한 인원은 500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합격 인원의 18%에 그쳤다. 이들이 2차 시험에 모두 합격한다는 전제 하에 올해 500명의 신규 전문의가 배출된다. 17일 의료계에 따르면 ... ...
"현대 인류도 잔인하고 공격적…고대와 다르게 발현될 뿐"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고대 인류의 공격성이 오늘날은 키보드 공격 등으로 발현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과거에는 직접 살인을 저지르는 일이 빈번했다면 오늘날은 키보드를 이용한 ‘손가락 살인’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고대 인류의 잔인성과 공격성이 형태만 다를 뿐 현대 인류에게도 나타난다는 의미다. 인 ... ...
"아기 시절 기억 못해도 감정·행동에 깊은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걸음마를 갓 뗀 아이가 장난감과 놀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람이 아기였을 때의 기억을 떠올릴 수 없는 이유는 오랜 시간 학계의 수수께끼였다. 17일 영국 일간 가디언은 유아기 기억상실증에 대한 전문가들의 최신 견해를 조명했다. 인간의 첫 기억이 형성되는 시기와 원인은 문화권을 비 ... ...
[인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도핑콘트롤센터장 최만호 ...
차세대 친환경 건식 반도체 제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왼쪽부터) 홍석원 GIST 화학과 교수, 김도원 박사과정생, 변진환 연구원, 안재붕 석사과정생. 이들은 황찬국 포항가속기연구소(PAL) 연구원과 함께 단순한 열처리만으로 구현 가능한 혁신적인 친환경 건식 포토레지스트를 개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단순한 열처리만으로 구현 가능한 혁신적인 ... ...
냉난방 소비 줄이는 법 발견…열방사율 자동 조절하는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온도에 따라 열방사율을 변화시키는 고분자 소재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온도에 따라 열방사율을 스스로 변화시키는 고분자 소재가 나왔다. 냉난방 시스템에 적용돼 에너지 소비를 절약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국연구재단은 김건우 전북대 교수 연구팀이 주변 온도에 따라 열 ... ...
'인공태양' 핵융합로 시뮬레이션 속도 1000배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케이스타(KSTAR) 프로젝트는 태양 같은 별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현상을 거대한 '토카막' 구조에서 인공적으로 일으켜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목표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태양과 같은 별이 에너지를 내는 과정을 모사한 핵융합 발전은 '인공태양'이라고 불리며 미래 청정에너지원으로 주 ... ...
코로나바이러스 전염 빠른 이유 발견…"백신 개발 실마리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왼쪽부터 유정민 KAIST 박사연구원, 이광록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이 빠르게 전염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과 코로나19 같은 전염성 질환은 짧은 시간 안에 전세계로 확산됐지만 빠르게 전염되는 ... ...
서울대병원, 150억 투입해 난치성 고형암 극복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췌장암 등을 극복하기 위한 신약개발 연구가 추진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서울대병원이 ‘삼중음성유방암 및 췌장암’을 극복하기 위한 신약개발 연구를 추진한다. 한국형 아르파-H(ARPA-H)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2029년까지 연구비 150억원이 투입된다. 서울대병원은 국가 난제를 해결하고 국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