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ell
감옥
교도소
감방
szell
쎌
샐
뉴스
"
셀
"(으)로 총 1,077건 검색되었습니다.
○○○아, 내 청춘을 돌려줘!
동아사이언스
l
2013.12.29
동아일보 DB 제공 “점점 더 멀어져 간다. 머물러 있는 청춘인 줄 알았는데…” 새해가 될 때마다, 한 살 더 먹는다는 사실에 안타까움을 드러내는 사람이 많다. 나 ... 사는지를 시험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결과는 생명과학분야 권위지 ‘
셀
’ 19일자에 실렸다 ... ...
인간 배아줄기세포 복제…생명공학 소용돌이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교수팀은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복제하는 데 성공했다고 학술지 ‘
셀
’ 5월 15일자에 발표했다. 이 논문에는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효상 선임연구원도 저자로 참여했다.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 Oregon Health & Science Univ. 제공 5월 29일 미탈리포프 교수의 논문도 사진에 ... ...
숫자 감각, 생후 6개월에 결정된다?!
수학동아
l
2013.12.23
일일이 세지 않고 어림하여 알아맞히도록 했다. 그리고 IQ 테스트를 비롯해 아이가
셀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확인하는 시험 등을 보았다. 그 결과 생후 6개월 시점에서 숫자가 바뀌는 화면을 더 오래 응시한 아동들이 3.5세가 됐을 때 숫자에 대한 이해가 더 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브라논 교수는 ... ...
네이처 선정 2013년 10대 과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인간 체세포로 복제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한 그의 연구결과는 학술지 ‘
셀
’ 5월 15일자를 통해 발표됐다. 배아줄기세포는 신경세포가 사멸하며 생기는 파킨슨병을 치료하거나 이식용 장기를 만드는 데 쓰일 수 있다. 빅토르 그로코프스키 - Natalia Nikitina 제공 2월 15일 러시아 ... ...
마흔 된 아들도 엄마 눈에 아기인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2.16
막내의 키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생명과학분야 권위지 ‘
셀
’ 자매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1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6세 사이의 막내를 둔 엄마 747명을 대상으로 어림짐작으로 첫째와 막내의 키를 벽에 표시하도록 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엄마들이 첫째 ... ...
세계 최고의 학술지는 어떻게 탄생했나 ④ PNAS
동아사이언스
l
2013.12.13
6개월이 지나면 오픈액세스로 자동 전환된다. 사이언스와 네이처가 ‘논 오픈액세스’,
셀
은 게재 1년 후 오픈액세스 전환인 것과 비교하면 PNAS가 좀 더 개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이앤 슐렌버거 PNAS 편집주필은 “하이브리드 오픈액세스 방식이 저자와 독자 모두의 권리를 보장해 과학계 ... ...
만병의 근원 '스트레스' 없앨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11
1907~1982)는 “인체의 항상성을 건드리는 모든 자극이 스트레스”라고 정의했다.
셀
리에의 말대로라면 인간은 스트레스 없이 살 수 없는 상황이다. 문제는 사회가 복잡해질수록 만성 스트레스 질환자들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인체에는 스트레스에 맞서 싸워 극복하도록 하는 ... ...
“3대 과학학술지 폭정”… 노벨상 셰크먼 교수 논문 게재 거부
동아일보
l
2013.12.11
세포의 물질운송 과정을 규명해 낸 공로로 올해 노벨상을 받은 그는 1980년과 1990년
셀
에 관련 논문을 게재하면서 세계 과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김기용 기자 kky@donga.com [화제의 뉴스] - 10대 용인 살인마 사형 구형 - 국군포로들의 ‘뜨거운 눈물’ - “北특별재판소 만들어 김정은 조사해야” - ... ...
노인 피부세포로 치매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09
‘직접교차분화기술’로 사람 표피세포를 신경줄기세포로 전환시키는데 성공해 ‘
셀
리서치’ 3일자 온라인 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여러 개의 유전자를 이용했던 기존 연구와 달리 단 1개의 유전자와 여러 가지 화합물을 조합해 직접교차분화를 유도함으로써 유전적 안전성을 높였다 ... ...
세계 최고의 학술지는 어떻게 탄생했나 ③
셀
동아사이언스
l
2013.11.22
갖고 긴밀하게 협력하기 때문에 상호 책임감 있는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것”이라며 “
셀
의 편집위원은 모든 논문을 검토하지 않고 동료 평가자들의 의견이 엇갈리는 논문에 대해서 결정적 의견을 낼 수 있다는 점이 여타 학술지와 다르다”고 설명했다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