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뉴스
"
오른쪽
"(으)로 총 2,73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눈이 없어도 볼 수 있을까
2020.05.19
자극’) 포스핀만 커질 뿐이지만 순차적으로 흘려보내며 가상 전극까지 만든다면(아래
오른쪽
‘동적 전류 조정’) 글자를 쉽게 ‘볼 수’ 있다. 셀 제공 미국 베일러의대 대니얼 요셔 교수팀은 차세대 시각피질 보철을 개발하기 위해 하드웨어가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방향에서 접근했다. 전극 수를 ... ...
꿈의 소재 '그래핀'국내서 첫 대량생산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9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오른쪽
)과 권연주 연구원이 멀티 전극 시스템으로 생산한 그래핀 용액과 가루를 들고 포즈를 취했다. 두 연구원 뒤에 있는 장치가 차세대 전기화학 박리공정이 적용된 멀티 전극 시스템이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기관이 개발한 신소재 ‘그래핀’ 제조기술을 ... ...
[인간·공감·AI]"코로나19 시대 아픈 환자 모니터링 시각 AI로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9
열화상카메라가 보였다. 그 앞에 서자 절반으로 나뉜 화면 왼쪽에는 일반 CCTV영상이,
오른쪽
에는 열을 측정한 열화상카메라 영상이 떴다. 두 영상은 정확히 동시에 움직였다. 안호연 GIST 연구원이 잠시 뒤 뜨거운 물이 든 금속 컵을 들고 복도의 모니터 앞에 섰다. 왼쪽 영상에 시각 인공지능(AI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미생물의 발견
2020.05.14
열심히 헤엄치고 다니는 정자를 봤음은 물론이다. 안톤 판 레이우엔훅 (1632~1723).
오른쪽
은 그가 만든 현미경. 위키피디아 제공 레이후엔훅의 가장 위대한 성과는 미생물을 발견한 것이다. 1670년대 어느 날 우연히 빗방울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다가 깜짝 놀랐다. 맨눈으로 보기에는 그저 맹물일 ... ...
수소차 충전량 검증 기술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4
책임연구원(
오른쪽
) 연구팀이 수소 유량 교정시스템으로 유량계 평가를 하고 있다. 표준연 제공. 현재 상용화된 수소 차가 수소충전소에서 충전할 때 충전기 내 유량계가 계량하는 수소 기체의 질량값에 따라 충전 금액이 부과된다. 그러나 수소는 석유와 달리 고압(700기압), 저온(영하 40도) 환경에 ... ...
인천서 중고생 6명 등 8명 확진…이태원클럽 간 학원강사 접촉(종합)
연합뉴스
l
2020.05.13
관한 법률' 위반으로 고발 조치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제공 박남춘 인천시장(
오른쪽
)이 13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인천시청에서 서울 이태원 클럽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상황을 설명하는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시는 지역 내 3차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방역 ... ...
WHO "어디서든 1m 유지하라"…학교·직장 재개 지침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오른쪽
)과 마이클 라이언 WHO 긴급대응팀장이 언론 브리핑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제공 교육부가 이달 13일로 예정된 고등학교 3학년 등교를 1주일 미뤘다. 서울 용산구 이태원 클럽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광합성 규명 70년 만에 탄생한 인공 엽록체
2020.05.12
1940년 탄소14를 만든 마틴 캐먼(
오른쪽
)과 이를 확인한 사무엘 루벤(왼쪽)은 2차 세계대전으로 광합성 연구가 중단된 뒤 전쟁 관련 연구를 하다 캐먼은 스파이 혐의로 연구소에서 쫓겨나고 루벤은 독가스 실험 중 사고로 사망했다.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제공 1946년 어느 날 미국 버클리 ... ...
스마트폰 앱 디자인 개선해주는 인공지능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5.10
UNIST 교수(왼쪽)와 이충기 연구원(
오른쪽
). UNIST 제공. 스마트폰 앱 개발시 더 나은 디자인을 추천해주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고성안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모바일 앱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평가해 개선점을 알려주고 더 나은 ... ...
[프리미엄 리포트]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
과학동아
l
2020.05.09
됐다(
오른쪽
위). NASA는 총 다섯 차례 우주왕복선을 띄워 허블우주망원경을 수리했다.
오른쪽
아래는 수리한 후 같은 구역을 촬영한 사진이다. NASA/ESA 제공 인류 역사에 혁혁한 공을 세운 영웅에게 고난과 역경은 필수 코스인 걸까. 수십 년간 우주 탐사의 아이콘으로 불린 허블우주망원경도 지금까지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