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독립
자립
자활
자율
정치적 독립
국가의 독립
자주빛
뉴스
"
자주
"(으)로 총 2,409건 검색되었습니다.
포수 없는 K9
자주
포, 박격포 나르는 견마로봇…軍에 부는 무인화 바람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연구도 진행중이다. K9
자주
포의 포탑을 자동화하는 기술을 개발해 5명이 운용하는
자주
포를 최대 2명이 운용하도록 개발하겠다는 개념의 연구다. 김 팀장은 “무인수색차에 들어가는 자율주행 기술을 도입하면 운용 인력을 1명 혹은 아예 없애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장이나 오염된 ... ...
영장류 중 사람만 비만이 많은 이유는…두뇌 활동 탓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원숭이 등은 주로 야생 과일이나 풀을 먹지만, 사람은 고칼로리 식품과 인스턴트 식품을
자주
먹고 운동을 하지 않기 때문으로 봤다. 그런데 최근 미국 듀크대 연구팀이 사람은 지방을 태워 에너지를 내는 유전자의 발현이 저하돼 비만하기 쉽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유전체생물학및진화' 2 ... ...
단백질 구조와 유전자 변이 동시에 분석해 유전자 진단 정확도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6
이런 식의 변이가 서로 상호작용하는 단백질 부위에서 일어난다뜻”며 "이런 패턴이
자주
보이는 부위를 AI로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방법으로 기존의 염기서열해독기술이 놓치던 질병 유발 유전자 변이를 찾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을 실제 질병예측에 활용해 본 결과, 실제로 기존 ... ...
생물처럼… 몸속 ‘피’ 흐르는 로봇 물고기가 스르르 헤엄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환경에서 활용하려면 외부와 단절된 채로 오랜 시간 혼자서 움직이는 능력이 필요하다.
자주
충전하지 않고도 임무를 수행하려면 에너지 저장 기술이 핵심이다. 문제는 배터리를 추가하면 무게도 함께 늘어나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소프트 로봇은 에너지 저장 방식에 많이 ... ...
“동토에 숨었다 피는 ‘씨범꼬리'에서 북극식물의 인내 배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식물은 씨범꼬리다. 긴 줄기 끝에 작고 흰 꽃이 무더기로 핀다. 그런데 바로 아래에
자주
색의 씨앗 같은 ‘무성아’가 달린다. 무성아는 땅에 떨어지면 씨앗처럼 새 개체로 자라는 기관이다.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을 둘 다 하는 것이다. 잎도 두 종류다. 씨범꼬리는 이 모든 꽃과 줄기를 몇 년이고 땅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테크니션이 아니라 '과학연구관'이라고 부르라
2019.06.20
실험실이라는 폐쇄적인 환경에서 제자에게 저항할 수 없는 권력으로 자리잡는다. 뉴스를
자주
장식하는 교수의 갑질과 성희롱, 성추행, 성폭행 문제는 이런 구조적인 실험실 문화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과학자 한 명이 실험실 전체의 우두머리가 되는 제도와, 과학자가 대학에서 교수라는 권력을 ... ...
美서 첫 사망자 공식 확인한 ‘대변이식술’은 어떤 치료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균이나 기생충 감염 여부 등을 꼼꼼히 확인한다. 비만이거나 고혈압 환자, 변비가 있거나
자주
설사하는 사람도 대변을 기증할 수 없다. 동아사이언스 제공 ... ...
SNS 게시글은 말한다. 당신이 당뇨에 걸릴 가능성 높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페이스북 같은 SNS에 사용한 언어 패턴을 통해 특정 질환에 대해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페이스북과 트위터 같은 소셜네 ... 인구를 상대로 추가 연구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앓고 있는 질환에 따라 페이스북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 플로스원 제공 ... ...
[애니멀리포트]난도 괭이갈매기들 왜 예민할까 '그놈의 정력과 피부미용'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6.15
"유독 예민하게 반응해서 이상하다고 생각했는데, 불법으로 알을 채취하는 사람들을
자주
겪었기 때문에 지레 겁먹고 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알의 크기를 잴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금까지의 기록을 보면 난도의 알은 다른 곳보다 조금 작다. 김 연구원은 " 그동안은 ... ...
구글보다 뛰어난 한국어 특화 AI 언어모델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단어로 인식한다. ‘날씨 어때’의 겨우 ‘날씨’ '씨어’ ‘어때’를 각각 비교해
자주
조합되는 ‘날씨’와 ‘어때’를 단어로 보고 끊어 읽는 식이다. 구글은 40만 건 이상의 위키백과 문서 데이터를 이런 식으로 학습해 한국어 언어모델을 개발했다. ETRI의 코버트는 구글의 버트를 한국어 특성에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