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식
스타일
형식
유형
타입
형님
종류
뉴스
"
형
"(으)로 총 1,154건 검색되었습니다.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예상치 못한 설명이 실려 있다. 즉 20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항생제 남용이 장내미생물 균
형
을 무너뜨려 인체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고 그 가운데 하나가 키가 커지는 현상이라는 것. 참고로 이 책의 부제는 ‘왜 항생제는 모든 현대병의 근원인가?’이다. 최근 번역출간된 책 ‘인간은 왜 세균과 ... ...
플라스틱 반도체 개발 성공
2014.10.22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p
형
반도체의 성능과 비슷한 수준의 n
형
반도체를 개발한 만큼 둘을 접합한다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태양전지, 센서 등의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권위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9월 2 ... ...
LED 교통신호등 수명 2배로 늘렸다
2014.10.14
구조로 만들어 빛을 내도록 만들었다. 연구팀은 박막구조의 나노입자 구조를 촘촘한 삼각
형
으로 바꾸면 LED 소자의 효율이 늘어나고, 동작전압및 온도가 감소해 수명이 2배로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구조를 변경하자 LED 내부에서 전자사이의 거리가 최소로 줄어들어 효율이 높아진 것이다. ... ...
[2014 노벨 물리학상] ‘빛의 혁명’ 선물한 과학자들
2014.10.07
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질화갈륨(GaN)을 근간으로 하는 화합물 반도체에 N
형
과 P
형
불순물을 주입한 뒤 전류를 흘리면 재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빛을 방출한다. 이렇게 전기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해주는 소자가 LED다. 1960년대 빨간색을 방출하는 LED 소자가 개발됐지만 파란색과 초록색 LED는 ... ...
돼지 췌도를 원숭이에 이식… 당뇨병 치료법 청신호
2014.10.01
받지 않고도 정상혈당을 유지했다. 김성주 서울삼성병원 교수. - 서울삼성병원 제공 1
형
이나 난치성 당뇨병 환자 중 인슐린 치료를 받아도 대사성 합병증이 나타나는 경우에 이 췌도 이식이 쓰인다. 췌도 이식은 췌장에서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도 세포를 분리하여 이식하는 방법으로, 췌장 ... ...
[채널A] 수학자 vs 프로기사, ‘수 싸움’ 누가 더 강할까
채널A
l
2014.08.21
패했습니다. [인터뷰] 폴 헤이겔스타인 / 미국 베이어대 수학과 교수 “경기 중간 ‘안
형
(眼形)’을 만들면서 실수를 했는데 곧바로 코너에 있는 돌들이 모두 잡혔습니다. 프로 9단과 바둑을 둘 때 흔히 있는 일이죠.“ 바둑판의 교차점 361곳에 어떤 순서로 돌을 놓느냐에 따라 10의 472제곱 가지 경우의 ... ...
의식 잃는 '압상스 간질' 원인 찾았다
2014.08.12
단장은 “압상스 간질의 원인으로 생각하던 기존 가설을 부정할 수 있게 됐다”며 “T
형
칼슘 이온통로의 역할을 재조명할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성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7월 28일자에 발표됐다. ... ...
뚱뚱해도 당뇨 안 생기는 곰, 왜?
과학동아
l
2014.08.06
Kevin Corbit 제공 제2
형
당뇨는 인슐린이 나오더라도 혈당을 효과적으로 낮추지 못해 생기는 질환이다. 이때 인슐린의 기능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하는 것이 지방세포다. 따라서 비만인 사람은 제2
형
당뇨에 걸리기 쉽다. 반면 뚱뚱해도 당뇨를 앓지 않는 동물이 있다. 메리 오릴리 미국 ... ...
저 별은 전지현 별? 7월의 밤하늘
동아사이언스
l
2014.07.30
별과 톱스타 전지현 사이에는 과연 어떤 끈질긴 인연이? 또 한여름 밤하늘에는 독수리 5
형
제 1호부터 5호까지 각자의 별이 떠 있다는데, 이건 또 무슨 얘기일까? 별자리에 얽힌 과학 이야기부터 온갖 분야의 잡담까지 깨알 같이 쏟아내는 두 MC의 별별 이야기! 제7편에서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뇌졸중이 일어난 결과 뇌전증이 유발되는 경우도 있다. 도스토예프스키의 경우도 사
형
장 체험이나 시베리아 수용소 생활이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소설 속 스메르쟈코프 역시 따귀를 맞은 충격이 발병 요인일 수 도 있지 않을까. 지난 100여 년 동안 뇌전증 치료제가 여럿 개발됐는데, 다수가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