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참고"(으)로 총 1,100건 검색되었습니다.
- 꽃은 봄이 온 걸 어떻게 알까?KISTI l2014.04.10
- 야외로 소풍가고 싶은 마음이 솔솔 생긴다면 한국관광공사에서 공개한 봄꽃 지도를 참고할 만하겠다. 집과 먼 곳에서 화려하게 핀 꽃을 볼 때나 동네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들을 만날 때도 개화 메커니즘, FT단백질에 대해 생각하며 감상한다면 즐거움과 유익함은 배가될 것이다 ... ...
- [이달의 역사]프리스틀리, 과학을 위해 살고 과학을 위해 죽다KISTI l2014.04.10
- 만났다. 프리스틀리는 자신이 발견한 새로운 공기(산소)에 대해 설명했고, 그 말을 참고해 라부아지에는 추후의 실험에서 그 기체가 비금속 물질과 반응해서 산(acid)을 만든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리고 그 기체를 ‘산을 만드는 원리’라는 뜻에서 ‘산소’로 명명했다. 그러나 산소의 발견은 ... ...
- 느낌 아니까! 터치는 따뜻한 손으로 천천히…동아사이언스 l2014.03.18
- 나눈 뒤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 나머지를 쓸어 담아 ‘원생생물계’로 분류한 것처럼(참고로 나머지 하나는 모네라(원핵생물)계). 인체에서 가장 큰 감각기관이라는 피부 역시 촉각만 담당하는 건 아니다. 즉 피부 아래 진피층에는 외부자극을 다양한 관점에서 감지하는 여러 종류의 ... ...
- 영화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진실은 어디까지?동아사이언스 l2014.03.13
- 여기서 이 영화를 못 본 (아마도) 대부분의 독자들을 위해 간단히 줄거리를 요약한다. 참고로 이 영화는 실화를 소재로 했다. 1985년 미국 텍사스 댈러스. 30대 후반의 전기기술자 론 우드루프(매튜 맥커너히)는 로데오 도박과 이 여자 저 여자 안 가리는 자유분방한 생활을 하고 있다. 그런데 어느 날 ... ...
- 해면의 진실동아사이언스 l2014.02.25
- 동물이 그때 바로 나타나지 않고 10억 년 이상 세월이 더 지난 뒤에야 등장했느냐는 것. 참고로 현존하는 다양한 해면동물의 게놈을 분석해 비교한 결과 이들의 공통조상은 약 8억 년 전에 등장한 것으로 나왔다. 가장 단순한 동물인 해면이 가장 복잡한 동물인 인간에게 심오한 수수께끼를 던진 ... ...
- 근육예찬동아사이언스 l2014.02.18
- 골격근(Muscles, exercise and obesity: skeletal muscle as a secretory organ)’이라는 제목이다. 참고로 근육은 뼈와 연결돼 몸의 움직임을 일으키는 골격근과 위나 혈관 같은 내장이나 관을 둘러싸고 있는 평활근, 심장을 뛰게 만드는 심근으로 나뉜다. 우리가 흔히 근육이라고 말하는 건 골격근을 뜻한다. 골격근은 ... ...
- 악몽과 개꿈의 과학동아사이언스 l2014.02.04
- 번역돼 있지만, 이 경우 악몽으로 번역한 ‘nightmare’와 혼동이 되기 때문이다. 참고로 사전에서는 ‘silly dream’이 개꿈으로 번역돼 있다. 그렇다면 악몽과 개꿈(bad dream)의 차이는 무엇일까. 한 마디로 나쁜 꿈을 꾸다 깨면 악몽이고 안 깨면 개꿈이다. 즉 악몽은 잠을 중단시킬 정도로 격한 ... ...
- 로봇이 인간을 대체할 수 있을까?KISTI l2014.01.29
- 그 시스템이 신뢰성 있게 작동할 수 있을까? 어쩌면 미 공군연구소(AFRL)의 방침이 좋은 참고가 될 수도 있겠다. AFRL의 연구자들은 자율화란 인간의 개입을 원천적으로 배제한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엔렌 파울리코우스키 AFRL 소장은 연구의 목표가 인간의 판단을 대체하려는 데 있지 않다는 ... ...
- [MATH] 2014년은 갑오년, 이름은 어떻게 정할까? KISTI l2014.01.20
- 결합시켜 본다. 사주팔자의 학문적 배경 자체는 서양의 점성학, 천문학과 유사하다. 참고로 사주팔자의 근원은 명리학에 있다. 명리학 자체가 데이터를 축적해 귀납적으로 세상사를 유추해보려는 통계학적 성격이 강하다. 여기서 한 가지 더 첨가하자면 각각의 천간과 지지에 해당하는 색깔이 ... ...
- [keyword로 읽는 과학]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르게, 라이파이KISTI l2014.01.16
- 통신기술이라는 뜻으로 지은 이름이다. 라이파이에서 라이(Li)는 빛(Light)에서 따왔다. (참고로 파이(Fi)는 충실도를 의미하는 ‘fidelity’의 약자다.) 그런데 가시광선으로 어떻게 통신을 한다는 걸까? 얼핏 상상이 되지 않지만, 가시광선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사례는 여러 곳에서 찾을 수 있다.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