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염
경구감염
경구
경귀
자가감염
자가
자가보험
뉴스
"
감염
"(으)로 총 10,695건 검색되었습니다.
간·신장 훼손 안 시키는 면역억제제 후보물질 개발
2014.10.29
최악의 경우 암이 생기기도 한다는 것. 또 환자는 낮아진 면역력 때문에 병원균
감염
에 취약해질 수 있다. 연구팀은 면역세포에만 존재하는 단백질인 ‘오라이 칼슘채널(Orai Ca Channel)’을 차단해 세포내 칼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새로운 화합물 ‘AnCoA4’를 개발했다. 이 화합물은 면역세포의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바이러스 질환인 감기에도 툭하면 항생제를 처방하는 우리나라 관행(혹시 모를 2차
감염
을 막기 위해)이 요즘 아이들의 놀라운 발육속도에 영향을 준 건 아닐까. 이처럼 영양상태에서 항생제까지 키에 미치는 환경의 영향이 유전자를 능가하는 것 같지만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꼭 그렇지도 않을 ... ...
나노바이오융합기술 세계 최고 석학 루크 리 UC버클리 교수
2014.10.20
최대한 활용하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초고속 광학 PCR칩(유전자를 증폭해서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장치)가 좋은 예다. 회사를 다니며 이미 광학 안테나에 대한 물리학적 지식과 PCR 기법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지식이 있었기 때문에, 두 기술을 융합한 장치를 개발할 수 있었다. - 한국 ... ...
12월부터 에볼라
감염
자 1주일에 1만 명씩 는다
2014.10.15
에볼라 안전 문제로 골치 미국에서 보호장비를 완벽하게 착용한 간호사가 에볼라에
감염
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20일부터 부산에서 개최되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를 앞두고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ITU 전권회의에는 WHO가 지정한 에볼라 관리 대상국인 기니와 라이베리아, ... ...
밤샘 좋아하면 싸이코패스?
과학동아
l
2014.10.05
사육의 위험성을 밝혀 함께 상을 받았다. 플레그르 교수팀은 고양이를 키우면 기생충에
감염
될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고, 하나워 교수팀은 고양이에 많이 물리면 우울증에 걸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생물학상 개가 똥 싸는 것만 잘 지켜봐도 상을 받을 수 있다. 체코생명과학대 ... ...
폐렴구균은 여섯 개의 얼굴을 갖고 있다
2014.10.01
것과 같다”며 “각 변이가 일어나는 과정을 더 구체적으로 밝혀낸다면 폐렴구균
감염
을 예방하거나 각 상태에 맞는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초파리가 연구에 도움 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9.17
연세대 교수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빅데이터 생물학’, 박현 원광대 교수의 ‘인수공통
감염
병 재난대응 시스템 개발 이야기’, 김기훈 서울대 교수의 ‘재미있는 초전도 현상과 발견을 위한 노력’이라는 제목의 강연이 각각 서울 정독도서관, 대전교육과학연구원, 광주교육과학연구원에서 ... ...
"공기 전염 에볼라는 당분간 불가능"
과학동아
l
2014.09.15
동반하는 진화는 결코 쉽게 일어나지 않습니다.” (성백린 연세대 교수) 치명적인
감염
병으로 세계를 공포에 몰아넣고 있는 에볼라 바이러스가 공기 전염이라는 ‘날개’를 달 수 있을지 묻는 질문에, 성백린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와 정용석 경희대 교수(이과대학 부학장)는 이렇게 말했다. 정 ... ...
긴팔원숭이 팔은 왜 길어졌나
2014.09.14
유전적 다양성을 소개했다. 리처드 피토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는 “최근에는
감염
병 보다 암과 심장병 등이 더 문제”라며 “중국에서는 나트륨 섭취 과잉으로 고혈압과 뇌졸중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런 질병을 줄이기 위한 해답으로 WHO의 로버트 테리 박사는 ‘건강 기금 ... ...
해남 메뚜기들은 왜 떼를 이루었을까
2014.09.01
아니라 메뚜기 장에 살고 있는 장내미생물이다. 그런데 메뚜기가 파라노세마에
감염
되면 장이 산성화되고 활성산소농도가 높아지고 면역계가 교란되면서 페로몬을 만드는 장내미생물의 생장이 억제된다는 것. 그 결과 페로몬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고 따라서 세로토닌의 수치도 줄어들어 ... ...
이전
1046
1047
1048
1049
1050
1051
1052
1053
10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