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20,71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스키아파렐리 실종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지직―, 지지직―.10월 19일 현재 시각 2시 42분, 엑소마스 2016의 화성 착륙선 스키아파렐리가 화성 대기권에 성공적으로 진입했다. 지금부터 정확히 5분 53초 뒤에 화성 표면에 착륙할 예정이다.낙하산과 역추진 엔진만 제대로 작동되면 된다. 성공한다면 화성을 직접 탐사한 7번째 착륙선이 될 것이 ... ...
- Part 2. 착륙 실패는 낙하산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안타깝게도 스키아파렐리는 착륙에 실패한 것으로 밝혀졌어요. 이로써 엑소마스 2016 프로젝트는 절반의 성공으로 그치고 말았지요. 그런데 스키아파렐리는 왜 착륙에 실패한 것일까요?낙하산이 일찍 펴진 게 원인!스키아파렐리가 궤도에서 분리된 뒤 화성 표면으로 착륙할 때에는 낙하산과 *역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천연기념물센터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매머드, 시베리아에서 우리나라로!천연기념물센터에 도착하자 우리나라 척추고생물학의 대가인 임종덕 박사님이 반갑게 맞아 주셨어요.“매머드는 다섯 종류가 있답니다. 그 중 오늘 여러분이 만나 볼 매머드는 ‘털매머드’에 속해요. 약 45만 년 전부터 1만 1000년 전까지 살았던 매머드로, 이름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가라앉아 생긴 층을 뜻하죠.‘가루 분(粉)’은 ‘쌀 미(米)’와 ‘나눌 분(分)’이 합쳐진 글자랍니다. 쌀을 잘게 빻는다는 데서 가루의 뜻을 나타내죠. 처음에는 쌀가루만을 뜻하다가 이후엔 쌀 외에도 가루 전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바뀌었답니다. ‘화장을 하다’라는 뜻의 ‘분칠하다’에도 이 ... ...
- INTRO. [머글편] 신비한 동물 사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안녕~! 내 이름은 뉴트 스캐맨더. 마법 세계와 *머글 세계를 오가며 신비한 마법 동물을 연구하고 있는 마법사야. 머글 세계에 나타난다는 마법 동물을 잡으러 뉴욕까 ... 지구의 마법같은 진화 실험Part 3. 폭발적인 진화의 이유는?Part 4. 여기로 가 보자! 신종 발견지Part 5. 머글 세계의 뉴트 ... ...
- Part 1. 지금도 발견되고 있는 신종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우리가 아는 생물은 전체의 1%?!알고 있는 동물의 이름을 대어 보세요. 사자, 늑대, 개, 고양이, 박쥐…. 하루 종일 동물 이름만 말해도 시간이 부족할 정도로 많은 동물을 기억 ... 마법같은 진화 실험Part 3. 폭발적인 진화의 이유는?Part 4. 여기로 가 보자! 신종 발견지Part 5. 머글 세계의 뉴트 ... ...
- Part 5. 머글 세계의 뉴트 스캐맨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신비한 동물을 찾다 보니 머글 세계의 신종 탐험가들도 만날 수 있었어. 그들도 나처럼 그저 신비한 동물을 찾는 것이 좋아서 나선 걸까? 아니면 머글 세계의 신비한 동물은 더 큰 의 ... 진화 실험Part 3. 폭발적인 진화의 이유는?Part 4. 여기로 가 보자! 신종 발견지Part 5. 머글 세계의 뉴트 ... ...
- [과학뉴스] 시민과학자의 놀라운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원시태양계는 가스, 먼지 등이 항성 주위를 돌고 있는 원반 모양의 천체예요. 이 물질들이 뭉치면 행성이 만들어진답니다. 과학자들은 원시태양계를 연구해 외계 행성을 찾고 있지요.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014년, 원시태양계를 시민과 함께 찾는 ‘원반 탐정’ 프로젝트를 시작했어요. 시민들은 ... ...
- [특별 인터뷰] 아마엘 볼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대한민국의 논이라면 웬만한 우리나라 사람보다 더 많이 가 본 프랑스 청년이 있어요. 벌써 4년째 봄마다 개구리를 찾아 경기도 파주에서부터 전라도 익산까지 논을 헤집고 다니는 양서류 연구자 ‘아마엘 볼체’가 그 주인공이지요. 2012년부터 지금까지 지구사랑탐사대와 함께 하고있는 특별한 이 ... ...
- [헷갈린 과학] 밤 vs 말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이들은 뾰족하게 생긴 열매의 윗부분끼리 서로 맞댄 채로 모여 있는데, 그 반대쪽은 둥글넓적하고 밝은 색을 띠지요. 짙은 갈색의 질긴 껍질을 벗기면 그 속에 흰빛을 띠는 털이 달린 속껍질이 나와요. 이 속껍질을 벗겨내지 않고 먹으면 떫은맛이 나는데, 이는 ‘타닌’ 때문이에요. 타닌은 밤이나 ... ...
이전1050105110521053105410551056105710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