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꽁지
뒤꽁무니
꽁무니
숨바꼭질
술래잡기
태그
술레잡기
d라이브러리
"
꼬리
"(으)로 총 1,495건 검색되었습니다.
김대건 신부 생전 얼굴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높이의 44%에 위치하며(그림6) 안쪽 눈
꼬리
는 눈확의 아래모서리에서 약 11mm에, 가쪽 눈
꼬리
가 약 13mm 위에 위치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따라서 눈의 전체적 모습이 약간 올라간 형태로 보인다(그림 7). 코뼈구멍과 코너비 사이에는 일정한 비례관계가 있었다(그림8). 다만 쌍꺼풀이나 귓불처럼 ... ...
2002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답 : 일단 자동으로 조절된다는 점이 같습니다. 고도 조절장치에서‘고도’(출력)가
꼬리
날개의 각도(입력)에 영향을 줘 고도가 조절되는 것처럼, 바이메탈 스위치에서도‘온도’라는 결과(출력)가 회로의 스위치(입력)에 영향을 줘 온도를 일정 범위로 유지한다는 점에서 상당히 비슷합니다. ... ...
온몸 깃털 달린 공룡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공룡 화석은 머리에서 발끝까지 깃털의 흔적이 선명하게 남아 있으며 특히 머리와
꼬리
주변에는 마치 금속세공을 한 것과 같은 모양의 솜털 흔적이 선명하게 보존돼 있다. 또 짧은 앞다리의 발등 부위에는 현대 조류의 것과 유사한 깃털의 흔적이 있다. 과학자들은 이 깃털은 보온을 위한 것이라고 ... ...
콜레라균 꿀꺽 마신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해결함과 동시에 인류가 전염병의 공포로부터 벗어나기까지 웃지 못할 사건들이
꼬리
에
꼬리
를 물고 일어났으니…. 여기에서는 콜레라를 해결하고도 역사의 패배자로 남을 수밖에 없었던 과학자에 얽힌 이야기를 소개하고자 한다.아무 한 일 없는 공중보건학의 아버지19세기 초반, 인도에서 시작된 ... ...
로봇팔이 만드는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고정되지 않는다는 것. 캐나담2는 끝부분에 있는 손가락 형태의 고정물을 이용해 마치
꼬리
를 머리에 오그려 붙이며 몸을 앞으로 기어나가는 자벌레처럼 움직인다. CNN의 보도에 따르면 캐나담2는 국제우주정거장에 붙어있는 전원 포트와 데이터 포트를 찾아가면서 움직이는데, 예를 들어 한쪽 끝이 ... ...
동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춤 방향과 수직 방향과의 각도는 태양과 꿀이 있는 곳 사이의 각도를 의미한다. 이 ‘
꼬리
춤’에는 방향 정보만 있는 게 아니다. 춤을 추는 속도에는 꿀이 있는 곳까지의 거리정보가 포함돼 있다. 예를 들어 천천히 추는 춤은 그만큼 한참 날아가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이같은 꿀벌의 춤언어가 ... ...
미르 남태평양서 15년 일생 마감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현지에 있던 미국 CNN방송 취재기자는 “불이 붙은 미르호 파편들이 긴 오렌지색
꼬리
를 달고 피지 섬의 하늘을 수놓았다”면서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환상적인 장면이 연출됐다”고 전했다.뉴질랜드 해양안전국에 따르면 미르가 추락할 당시 인근 해역에 참치잡이 어선들이 지나가고 있었으나 ... ...
② 지능ㅣ제갈길 알아서 찾아가는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앞으로 공을 굴려주면 공을 쫓아가면서 잘 놀고, 자꾸 쓰다듬어 주거나 귀여워해주면
꼬리
를 흔들거나 뒷다리를 이용해 서는 행동을 하는 등 그때그때 적합한 행위를 할 뿐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배우는 능력도 있다고 한다.한편 작년 일본 혼다에서 발표한 인간과 같이 두발로 서서 걸어다니는 ... ...
별자리 찾기 도시하늘이 더 쉽다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맨밑에 두고 방망이 모양으로 별을 이으면 목동자리가 완성된다. 방망이의 끝이 큰곰의
꼬리
부분인 북두칠성이 있는 북쪽으로 뻗어있다는 걸 기억하면 찾기 쉽다.왕관자리봄하늘을 수놓는 가장 예쁜 별자리를 꼽으라면 단연 왕관자리다. 목동자리 왼쪽에 있어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그러나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웃음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특정한 감정을 만들어내면 몸도 거기에 따른 생리적 변화를 보인다”고 말한다. 입
꼬리
를 위로 올리고 억지로라도 웃는 시늉을 하면 기분이 좋아질 수 있다는 말이다. 슬픈 역할을 오랫동안 하는 배우는 실제로도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높다고 한다.‘일소일소 일노일로’(一笑一少 一怒一老)라는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