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차로 밟아도 끄떡없다? 단단한 젤리 ‘슈퍼 젤리’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11월 25일,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의 오렌 셔먼 교수팀은 평소엔 젤리처럼 말랑말랑하다가도 누르면 금속처럼 단단해지는 ‘슈퍼 젤리(SPN)’를 만들었다고 발표했어요.슈퍼 젤리는 물이 성분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하이드로겔’에 속합니다. 하이드로겔은 물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고분자 혼합물로 ... ...
- [시사 과학]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mRNA 방식의 백신보다 오랜 시간 면역 효과를 유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한양대학교병원 감염내과 김봉영 교수는 “기업들이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빠르게 개발하더라도, 실제로 사람들이 접종할 수 있게 승인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며 “백신 개발과 승인 속도가 변이 발생 속도를 ... ...
- [그래프 뉴스] 과도한 어획, 자연의 수학 법칙 깼다!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일정하다는 ‘쉘든의 스펙트럼’을 따라요. 그런데 최근 에릭 갤브레이스 캐나다 맥길대학교 지구행성과학부 교수팀이 사람들이 물고기를 너무 많이 잡아 이 법칙이 깨졌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연구팀은 275개에 달하는 논문을 참고해 대규모 어획이 시작되기 직전인 1850년과 2020년의 주요 ... ...
- [특집] 수학 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알레시오 피갈리 교수와 호아킴 세라 교수, 자비에 로스오톤 바르셀로나대학교 교수는 얼음이 녹을 때 표면에 생기는 특이 시간 집합의 차원이 차원 이하라는 연구 내용을 온라인 논문 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에 공개했어요. 차원이라는 말이 낯설텐데요, 수학에서는 1, 2, 3, 4처럼 자연수 ... ...
- [매스미디어] Formula of Love : O + T = < 3수학동아 l2022년 01호
- 거리 재는 삼각함수 트와이스가 앨범을 발표하고 하루 뒤인 2021년 11월 13일 김상욱 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가 트와이스의 ‘SCIENTIST’ 속 가사 일부를 과학자의 시선으로 재해석해 화제가 됐어요. 가사 속 삼각비 개념을 함께 알아봐요. ‘SCIENTIST’에는 ‘왜 그렇게 각을 재 sin, cos도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안녕하세요.저는 대수기하를 전공하고,고등과학원,삼성전자를 거쳐 현재 인하대학교에서 딥러닝으로 ‘컴퓨터 비전’이라고 불리는 영상 인식 알고리듬을 만드는 현윤석입니다.저는 수학을 좋아하는 학생들과 얘기하는 것을 좋아해서 폴리매스 출제진으로 참여하게 됐어요. 유지연 매니저. ... ...
- [과학 뉴스] 반짝반짝 글리터, 식물로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11월 11일,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유수프 하미드 교수팀이 인공 염료 없이 식물을 재료로 만든 글리터(화장품)를 공개했습니다. 연구팀은 유럽에서만 글리터로 인해 매년 5500t(톤) 가량의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한다는 통계를 보고 친환경적인 식물성 글리터를 연구하기 시작했죠. 식물성 글리터의 ... ...
- [현장취재] 환경·사회 문제 함께 해결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올해의 우수 논문 대상 수상자는 땅후루 팀입니다. 축하합니다!” 지난 11월 16일 연세대학교 백양누리에서 재단법인 숲과나눔이 주최하는 환경학술포럼이 열렸어요. 지사탐 대원들과 함께 생태, 환경, 사회 문제를 푼 시민과학풀씨 9개 연구팀 모두가 성공적으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고, 땅거미와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유튜브 간접 체험 영상,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있어요. 체험 영상을 보면 몸과 마음이 실제로 영향을 받거든요. 2018년 영국 리버풀대학교 애나 콧츠 박사팀은 먹방을 오랫동안 보는 어린이들을 연구했어요. 그 결과, 먹방을 본 어린이는 보통 어린이보다 평균 26% 이상 더 많은 과자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죠. 먹방을 보고 있으면 영상에 나오는 ... ...
- [4컷 만화] 소행성 ‘카모오알레바’, 실은 달의 파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애리조나대학교 비슈누 레디 교수팀은 11월 11일 지구 주위의 소행성 ‘카모오알레바’가 달에서 떨어져 나간 조각이라고 발표했습니다.2016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소행성 카모오알레바를 처음 발견했습니다. 카모오알레바는 지구 근처에서 달처럼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지름 약 50m의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