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d라이브러리
"
먹이
"(으)로 총 2,130건 검색되었습니다.
숨 잘 쉬는 물고기가 무리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떨어지는 반면 앞쪽에 있는 물고기는 산소호흡능력이 좋았다.킬렌 교수는 “물고기는
먹이
를 얻거나 포식자를 피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에 무리지어 다닌다”며 “무리가 가장 빨리 움직이기 위해 가장 산소호흡능력이 좋은 물고기가 앞장선다”고 말했다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물속에 잠겨야 하는데 맹수류는 입이 주둥이 양쪽 뒤까지 찢어져 있기 때문에(그래야
먹이
를 물 때 턱을 많이 벌릴 수 있다) 양옆으로 틈이 생긴다.이 상태에서 숨을 들이켜 봤자 물이 딸려 오는 게 아니라 옆에서 바깥 공기가 새어 들어온다. 한마디로 이들은 ‘볼’이 불완전하게 발달한 셈이다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채집 시에는 붙어 있는 가지나 잎 자체를 잘라서 연구소로 데려와 사육한다. 같은 종의
먹이
식물을 넣어 애벌레 스스로 움직이게 하는 방법밖에 없다. 배다리의 숫자는 해부 현미경을 사용하지 않고도 애벌레를 쉽게 분류할 수 있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다리 개수는 0개부터 26개까지‘여러 개의 다리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그 카메라로 찍은 영상을 떠올리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적외선은 열선이기 때문에 뱀은
먹이
가 발산하는 열을 느끼고 접근한다. 아무리 예쁜 색깔의 옷을 입고 화려한 화장을 해도 적외선 투시카메라 같은 뱀의 눈에는 우리가 모두 비슷한 색깔로 보인다니 흥미롭다.봄이 되면 활짝 핀 꽃과 함께 ... ...
겨울잠을 자는 곰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겨울잠에서 깨어나신 건가요?후아암~. 안녕하세요? 네, 이제 막 겨울잠에서 깨어났어요.
먹이
가 없는 추운 겨울 동안 잠을 자고 이렇게 따뜻한 봄에 일어나니 정말 좋네요.특종으로 곰이 겨울잠을 자는 비밀을 알려 주신다고 해서 서둘러 만나러 왔습니다. 그 비밀이 도대체 뭔가요?미국 ... ...
놀라워서 깡충! 거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일어나서 허물을 벗으며 계속 자라거든. 많이 먹어야 쑥쑥 클 수 있겠지? 그래서 난 이제
먹이
사냥을 좀 나가야겠어. 따뜻한 봄의 햇살도 맘껏 쬐고 말이야 ... ...
PART 1 비를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목표물을 향해 직선으로 비행하지않고 사이클로이드 곡선에 가깝게 곡선 비행을 하며
먹이
를 포획한다.하늘을 나는 새의 날갯짓의 자취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은 사이클로이드 곡선과 매우 흡사하다. 또한 새의 날개 끝은 몸통을 기준으로 할 때 사이클로이드 형태의 타원 모양으로 ... ...
한 방에 빵! 터지는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들어 있어야 할 노른자는 온데간데없이 ‘귤’이 자리를 차지했다.]공룡이 먹으려던
먹이
가 갑자기 빵 터진다면? 보름달이 여기저기서 쩍쩍 갈라진다면? 달을 향해 날아가던 유성이 갑자기 피를 쏟아내며 부서진다면? 애니메이션에서나 나올 법한 이야기들이 앨런 세일러의 사진속에 담겨 있다. ... ...
고기 좋아하면 뱃속에 ‘육식미생물’ 자란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실험을 했다. 연구팀은 생쥐에게 2주 동안 단백질과 지방, 탄수화물 세 가지 중 하나만
먹이
로 줬다. 생쥐 배설물에서 나온 미생물의 DNA를 분석한 결과, 쥐가 먹은것에 따라 미생물 종과 유전자 발현이 달랐다.페이스 박사는 “식습관에 따라 미생물이 60% 이상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두 연구팀의 ... ...
친구들 속에 묻어가기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음식물을 소화하고 흡수해 저장하며 배설하는 것이 소화 기관과 부속샘이다. 애벌레는
먹이
에 들어 있는 식물의 독성물질을 내부가 특수한 막으로 덮여 있는 소화기관인 중장에서 해독한다. 그러나 천적을 쫓아 버리는 유독성 물질은 분해하지 않고 저장했다가 방어용으로 사용한다. 주로 체내의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