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규모 기상관측 위성기술 개발 20143 생물 이용 산림생태계 복구기술 실용화 20154 고에너지
밀도
의 대형전지용 소재 개발 20145 질병퇴치 천연물과 미생물 농약 보급 20166 방사선 이용 대체의약품 개발기술 보급 20177 사이버 전투기술 실용화 20148 2일간 기상예보 완벽한 수준 도달 20199 고부가 산림자원 ... ...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밀랍이 밀려나는데 공기가 팽창한 상태에서 냉각시켜 밀랍을 굳히면 유리관 안의 공기
밀도
는 낮아진다.이런 방법으로 유리관 안의 공기 부피를 2배로 늘렸더니 공기의 압력이 대기압의 절반 정도로 낮아진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물론 실험에서 약간의 오차가 발견됐는데, 보일은 이 오차가 ... ...
머리카락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자란다. 머리카락이 한꺼번에 나거나 한꺼번에 빠지지 않고 전체
밀도
가 항상 비슷하게 유지되는 이유다. 일반적으로 모낭 전체의 85~90%는 생장단계, 10~15%는 탈모단계에 있다. 탈모단계인 모낭이 많을수록 대머리가 되는 것.모낭의 성장 단계별 머리카락 비율은 유전자, 계절, ... ...
빅뱅 직후 우주는 액체 상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빅뱅 후 수십만분의 1초 뒤의 우주 온도인 약 1조℃ 이상의 상태를 재현했다. 초고온 초고
밀도
의 ‘모의 우주’를 만든 것이다.모의 우주가 기체 상태라면 물질의 최소단위인 쿼크가 사방으로 튀어나가야 하는데 연구진이 예상했던 것과 달리 수평 방향으로 튀어나가는 경우가 많았다. 연구팀은 이에 ... ...
정부와 기업이 관심을 갖는 미국의 과학교육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캔에 담긴 다이어트 콜라와 일반 콜라를 물에 띄우면, 하나는 뜨고 하나는 가라앉는다.
밀도
가 다르기 때문이다. 똑같아 보이는 두 오이에 전류를 흘렸더니, 하나는 빛을 내지만 다른 하나는 빛을 내지 않는다. 빛을 내는 오이는 오이 피클이었다. 오이 피클에는 염분이 많아 전류가 잘 통한다. ... ...
태양보다 150배 이상 무거운 별은 없어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이용해 우리 은하에 속해 있는 아치 성단의 별들의 질량을 관측해왔다. 아치 성단은
밀도
가 높고 커서 아주 크고 무거운 별이 존재한다. 피거 박사는 “아치 성단은 통계적으로 보면 태양 질량의 500∼1000배가 되는 별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됐다”며 “그런데 관측 결과 태양 질량의 130배를 넘는 별은 ... ...
플라스크 속에서 별이 빛났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영역이 주기적으로 바뀌면서 주위로 퍼진다. 이때
밀도
가 낮은 영역에서 팽창된 기포는
밀도
가 높은 영역에 들어가면 수축하게 된다. 그런데 기포의 수축속도가 너무 빨라 기포안으로 들어온 에너지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가운데로 집중되면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며 빛을 낸다.그러나 음파발광이 ... ...
나만의 전속 영양사 - 유전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콜레스테롤을 가진 사람에게는 저지방 고탄수화물 식이요법을 권한다. 반면 입자가 크고
밀도
가 낮은 LDL-콜레스테롤을 가진 사람은 같은 식이요법을 쓰면 안된다고 조언한다. 고탄수화물 식사가 큰 LDL-콜레스테롤 입자는 감소시키지만 작은 입자는 오히려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왜 유전적 차이에 ... ...
황금 주파수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이용
밀도
가 급격히 늘어났다. 중앙전파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현재 한국의 전파 이용
밀도
(한지역에서 전파를 사용하는
밀도
)는 세계 최고수준이다.이처럼 전파 산업이 급성장한 것은 CDMA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가 도입되면서 시작됐다. 유 박사는 “CDMA는 당시 전무하다시피 했던 전파산업을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중성자가 튀어나오도록 노심 크기를 직경 40cm, 높이 70cm로 최대한 줄였다. 그만큼 중성자
밀도
와 단위부피당 출력은 크게 올라간다. 반면 같은 출력의 발전용 원자로 보다 50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규모다. 짧고 굵게 타버린 탓에 연료는 수시로 교체된다. 이 때문에 연평균 150일은 연료 교체를 위해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