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반"(으)로 총 7,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NASA)의 화성탐사로봇 ‘큐리오시티’가 보내온 사진에서 수상한 물체가 포착됐다. 일반적인 돌이나 바위와 달리 지나치게 납작한 모양을 하고 있어 외계문명의 흔적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NASA는 “바위에서 떨어져 나온 조각”이라고 일축했다. 3월에는 칠레 아타카마 지역에서 ... ...
- 혈중알코올농도에 대한 과학적 쟁점 4과학동아 l2018년 12호
- 0.05퍼센트 이상인 경우’라고 규정하고 있다(제44조 4항). 혈중알코올농도 0.05%는 일반적으로 소주 2잔(50mL), 또는 맥주 2잔(250mL) 정도를 마시고 1시간이 지난 상태에 해당한다. 술은 시공간의 지각 능력과 판단력을 떨어뜨린다. 반응속도도 느려진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혈중알코올농도가 0.05%일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내년 과학 활동 미리 계획하기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습니다. 같은 학교에 재학 중인 2명이 한 팀으로 참가하는데, 이 대회의 경우 일반고와 과학고·영재학교, 두 부문으로 나눠 진행됩니다. 고교 2학년 교육과정 내에서 제시된 실험 주제에 대해 실험을 설계하고 직접 실험한 결과를 보고서로 작성해 제출합니다. 원래는 지필 평가도 있었지만,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세계적으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친환경 에너지 도시가 운영 중이다. 일반 자동차의 시내 이용을 금지하고, 그 동력으로 재생에너지만 사용하는 아랍에미리트(UAE)의 마스다르, 풍력발전 사업으로 차세대 그린 에너지의 가능성을 입증한 일본의 타치카와, 전기버스 운행과 보행자를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사바나의 파수꾼 기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4월 12일, 용인 에버랜드에서 아기 기린 ‘그루’가 태어났어요. 6월이 되면 일반 관람객도 그루를 볼 수 있도록 공개할 예정이지요. 아프리카에 사는 기린은 주변에 초식동물들이 가득해요. 기린이 파수꾼 역할을 해주거든요. 기린은 키가 크고 시력이 좋아 4~7km나 떨어진 먼 거리의 포식자까지 ... ...
- [수학뉴스] 우주에선 중력파로 통신?!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진동으로 전파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아핀 공간은 유클리드 기하학의 몇 가지 특성을 일반화시킨 구조를 뜻합니다.현재 우리가 쓰는 무선통신은 전자기파를 사용하는데, 거리가 멀어지면 전송 능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특히 문자 그대로 ‘천문학적’ 시공간을 이동하는 우주에서는 더 큰 문제가 ... ...
- 윌리 웡카의 초코초코 퀴즈 쇼수학동아 l2018년 11호
- 그러면 그 조합에 따라 효율적으로 약이 든 초코케이크를 찾을 수 있답니다! 규칙을 일반화하면 n개의 초코케이크가 있을 때 필요한 사람 수는 log2n이고 이 방법을 쓰면 반드시 약이 든 초코케이크를 찾을 수 있으면서 설사병에 걸리는 움파룸파의 수를 최소로 할 수 있습니다. 3번 제조실에서 만든 ... ...
- 공부 잘하는 약 ‘스마트 드럭’의 유혹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약학적 인지능력 향상(PCE) 관련 논문을 분석한 결과, 대학생이나 청소년, 운동선수 등 일반인이 ADHD 치료제를 복용했을 때 인지능력이 향상된다는 보고는 일부에 불과했다”며 “오히려 정신질환, 심근경색, 심근증, 돌연사 등과 연관이 있는 만큼 장기적인 연구와 오남용 예방이 필요하다”고 ... ...
- [TECH]大화면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스마트폰이 약 77.8% 더 크다.스마트폰 시청 거리까지 고려하면 피부에 더욱 와 닿는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시청 거리는 30cm 내외다. TV는 2m가량 된다. 비율로만 따지면 30cm 거리에서 4.5인치 화면을 보는 것과 2m 거리에서 30인치 TV를 보는 것은 비슷하다. 여기서 스마트폰 화면이 6인치로 커지면 TV는 4 ... ...
- 물리학상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새로운 활용을 개척한 아서 애슈킨 전 미국 벨연구소 연구원 등 3명에게 돌아갔다. 일반적으로 노벨상이 한 가지 연구에 주어지던 것과 달리 올해는 레이저 분야의 2가지 연구에서 공동수상자가 나왔다. 무루 교수와 스트리클런드 교수는 극초단 고출력 레이저 개발 업적을, 애슈킨 박사는 초정밀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