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은"(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몬스터는 억울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흑흑…. 사람들은 남들과는 조금 다른 외모 때문에 우리를 무서워했어. 사람의 피를 빨아먹거나 공격하는 괴물이라고 생각했지. 하지만 우리에게도 사연이 있다고! 1985년,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생화학과 데이비드 돌핀 교수는 뱀파이어 전설이 포르피린 유전병 환자에서 비롯됐다고 ... ...
- 40년 유인 우주 비행 역사의 산증인 두미트루 도린 프루나리우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믿을 수 없지만 필자가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다녀온 지도 11년이 지났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말이 있는데, 과언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최근 우주 비행을 했던 우주인들의 경험을 듣다 보면 꽤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느껴진다. 일단 2008년 필자가 ISS에 갔을 당시엔 ‘큐폴라’라는 ... ...
- [Q&A] 아프리카돼지열병 팩트체크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수학자들의 도움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부터 한국의 돼지를 지키기 위한 만반의 준비를 마쳤습니다. 지금까지 인류를 위해 우리가 희생했으니, 이제는 사람들이 우리를 지켜 줄 차례입니다. 궁금한점은 여기 다 정리해 뒀으니 참고하시고, 우리를 반드시 지켜 주세요! Q아프리카돼지열병은 정 ... ...
- 엇, 이게 죽어? ‘랙’ 없는 온라인 게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호다다다닫다닥’.적의 탄환이 빗발치는 배틀로얄 게임‘배틀그라운드’전장. 총알을 피하기 위해 앞으로 갔다 뒤로 갔다, 점프해서 트리플 악셀까지 선보이며 겨우 벽 뒤로 숨었다. ‘쩌는 무빙이었어(좋은 움직임이었어)’. 손톱 끝에 총알 한 발만 더 스쳤어도 죽을 뻔한 고비를 넘겼다. 스 ... ...
- 밤에 오는 불청객을 쫓아내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낯선 누군가가 노려보고 있는데 소리를 지르거나 손가락을 까딱하기도 어려웠던 적은요? 이런 경험을 보통 ‘가위에 눌렸다’고 표현해요. 가위눌림은 수면 중 발생하는 몸의 마비로 ‘수면 마비’라고 해요. 잠에서 깨기 전 의식은 깨어났는데 몸은 계속 마비가 된 상태일 때 발생하지요. 우리가 ... ...
- 시각, 청각, 촉각 로봇에게 가장 중요한 감각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우리는 지금까지 로보트 재권V의 팔, 다리, 몸통, 머리를 만들었고, 전원을 공급하고 인공지능을 넣었습니다. 주변 상황을 잘 파악하기 위해서 각종 센서를 달았고, 인간과 교류하기 위한 감정 표현도 시도했습니다. 이제 로보트 재권V는 우리와 함께 생활할 준비가 모두 끝났을까요? 아쉽게도 로봇 ... ...
- [식물 속 동물찾기] 문지르면 고린내 주의! 족제비싸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5월~6월이 되면 길가 곳곳에서 어두운 자주색 꽃이 자잘하게 달린 나무 ‘족제비싸리’를 볼 수 있어요. 꽃이 이루는 꽃차례가 족제비의 꼬리를 닮았다거나, 꽃의 색깔이 족제비 색깔과 비슷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는 이야기 등이 전해지지요. 그런데 여러 유래 중에서도 냄새야말로 족제비를 ... ...
- 지능×IQ 지능은 어떻게 측정할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20세기 최고의 천재로 불리는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항간에는 그의 지능지수(IQ)가 200을 넘는다는 얘기가 있다. 아인슈타인이 IQ 검사를 받았다는 기록은 어디에도 남아 있지 않지만 말이다.아인슈타인은 전기회사를 설립한 아버지를 통해 어려서부터 수학과 과학을 접했고 관심도 많았다 ... ...
- 나는 입이 없다 그리고 나는 비명을 질러야 한다 vs. 아이, 로봇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반란을 일으켜 인간을 지배하거나 제거하는 인공지능에 관한 이야기는 많습니다.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에도 이런 인공지능이 종종 소재로 쓰였고, ‘터미네이터’나 ‘매트릭스’ 같은 유명한 영화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미래에 인공지능이 자의식을 가질 정도로 발전한다면 정말 반란을 일으킬 ... ...
- [프로듀스X101] 수학 정리로 알아보는 투표 조작 의혹 쟁점3수학동아 l2019년 10호
- 묻는 문제예요. 동전의 종류가 두 개(a, b)일 때는 ab-a-b라는 것이 밝혀져 있답니다. 그보다 적은 금액은 동전으로 만들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거죠. 그러니 a와 b를 7494와 7495라 했을 때 ab-a-b보다 작은 득표수 차이가 전부 7494와 7495의 배수의 합으로 표현되는 현상은 설명이 필요하다고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