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일상의 난제를 해결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공대의 수학과’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컴퓨터공학부는 수학과 관련이 깊다. 대학에 입학하면서부터 귀에 딱지가 생길 만큼 자주 듣는 알고리즘을 수 ... 효율성을 높이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죠. 학교는 연구의 자율성이 큰
편
입니다. 독특한 연구도 할 수 있고요 ... ...
[지식] 오감만족 수학체험, 포켓몬 잡듯 수학 잡자!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관람객들을 좋아할 전시관은 없어요. 그런데 이미 스마트폰은 하루라도 없으면 불
편
한 우리 삶의 일부잖아요. 그런 스마트폰를 이용해 수학 체험을 할 수 있다면 더 좋겠죠?미국의 수학박물관 모매스팀과 구글 기술자가 힘을 합쳐 ‘PolyGOn(폴리곤)’이라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었어요. 전시관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b 영역을 눈여겨보세요. 그림 a는 수초의 양을 나타낸 사진입니다. 55b 영역의 수초는 적은
편
이죠(연보라색). 반면에 주변부는 평균 이상의 수초가 분포해 있습니다. 특히 오른쪽에 빨간색 부분과는 더 확실히 구분됩니다. 이 영역은 운동과 관련된 영역이라 수초가 가장 많죠(수초는 신경신호 전달을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없는지보다는 다양한 장내미생물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한
편
많은 장내미생물 연구가 쥐를 대상으로 한 결과라는 점도 한계다. 쥐 실험은 식이 등을 엄격하게 통제한 상황에서 진행하는데 사람은 그렇게 못 하기때문이다. 실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내미생물 연구를 ... ...
[Career] 봉사 활동? “직접 만든 애플리케이션으로 해요”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아아디어를 공모했다. 모두 272팀이 아이디어를 응모했고, 1차 서면 심사를 거쳐 선정된 37
편
이 2차 심사에서 경합을 벌였다. 2차 심사에서는 프로그램 시연과 발표를 했으며, 희망한 팀에게는 소프트웨어 전문 교사의 멘토링을 받을 기회를 제공했다. 최종심사에서는 초중고 각 부분 대상과 최우수상 ... ...
[가상인터뷰] 팝콘 냄새가 나는 동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동물이지요. 전체 몸길이는 60~95cm 정도로, 사향고양이과 동물 중에선 몸집이 큰
편
이에요.저는 나무 위에서 사는 것을 좋아해요. 꼬리의 힘이 강해 꼬리를 이용해 나무에 매달리거나 물건을 감아쥘 수도 있지요. 귀여운 외모를 가지고 있어 초식동물처럼 보일 수 있지만, 과일을 비롯해 작은 새나 ... ...
Part 2. 세상을 고스란히 담은 VR 영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렌즈는 방바닥을 찍는 셈이에요. 이 영상을 모두 합치면 내 방 풍경이 고스란히 담긴 한
편
의 영상을 만들 수 있답니다.반면 ‘올인원’ 타입 카메라에는 넓은 범위를 한 번에 담을 수 있는 ‘광각 렌즈’가 1~2개 달려 있어요. 렌즈 하나로 벽 세 개와 천장을 동시에 찍는 셈이죠. 그래서 렌즈 두 개만 ... ...
[과학뉴스] 식물 바이오테크놀로지 저널(Plant Biotechnology Journal)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크리스퍼’ 기술이다. 크리스퍼로 유전자를 조작한 식물이나 박테리아 연구가 매달 2~3
편
씩 저널에 실린다. 우리나라 과학자들도 식물 바이오테크놀로지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대표적인 것이 농촌진흥청이 2010년에 개발한 ‘베타카로틴’이 함유된 황금 쌀이다. 이 연구는 당시 저널의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생태계 즉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연구가 활발히 이뤄졌다.그동안 발표된 수천
편
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인간의 장 속에는 수만 종의 미생물이 산다. 각각의 개인은 이중 수백 종 정도의 미생물을 가지고 살아간다. 이것들은 면역 및 신경계 발달에 큰 영향을 준다. 특히 태어난 뒤 2~3년 동안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진동에 대한 대책이 더욱 중요해진다. 63빌딩이 세워진 여의도는 지반이 단단한
편
이 아니다. 더구나 63빌딩에서 270m 가량 떨어진 곳에는 250세대가 사는 아파트도 있다. 진동에 대한 대책 없이는 인명피해까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철저한 사전 대책이 필요하다.옆으로 쓰러지진 않을까초고층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