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시"(으)로 총 2,3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과학동아 l2007년 12호
- 함께 병기한다 예를 들어 3천rpm에서 토크가 15kg·m라면 '15/3천kg·m/rpm'으로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최대마력도 1백25/5천ps/rpm식으로 표현한다선 마이크로시스템스(Sun Microsystems)에서 개발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 Oriented Programming Language)의 일종자바로 만든 프로그램( ...
- 양방향메시징서비스(MO)과학동아 l2007년 12호
- 전화번호를 붙여 #8810-1234-5678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내용은 사용자의 TV화면에 표시되고 리모컨을 이용해 답장을 보낼 수도 있다.TV를 통한 채팅도 활발해질 전망이다. MO 번호를 사용하면 자신의 휴대전화 번호를 노출시키지 않고도 문자 채팅을 즐길 수 있다. MO는 현재 가속되는 방송통신 ... ...
- '특별한 가족'을 맞이한 국제우주정거장과학동아 l2007년 12호
- 많이 일으키는 n─헵탄을 0으로, 이들의 혼합물이 나타내는 옥탄가를 이소옥탄의 부피로 표시한다 가령 이소옥탄이 90%이고 n─헵탄이 10%인 가솔린의 옥탄가는 90인 셈이다 현재 시판중인 가솔린은 자동차가 저속으로 달릴 때를 기준으로 하여 옥탄가 92와 96 등이 있다데이터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 ...
- PART2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과학동아 l2007년 12호
- 핀란드 헬싱키대 나빌 데나타 교수팀은 젖산분해효소 유전자의 활성도를 세계지도에 표시했다. 그리고 중앙아시아지역과 몽골지역민이 우유를 잘 소화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몽골이 좋은 예다. 몽골인은 아침에 일어나면 ‘수태차’라는 차를 만드는 일로 하루를 시작한다. 수태차는 우유와 ... ...
- PART1. 세컨드라이프가 열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1호
- 할 수 있어. 가로, 세로, 높이를 공간에 표시하는 거야. 그래야 크기, 부피, 위치 등을 표시할 수가 있거든. 우리는 눈으로 보면 입체인 줄 알지만 컴퓨터는 그렇지 않아. 모든 데이터를 0과 1이라는 숫자의 조합으로 인식해서 처리하거든. 그러니까 둥그런 내 얼굴도 어여쁜 피오나도 컴퓨터 속에서는 ... ...
- 세계 최초 OLED TV 등장과학동아 l2007년 11호
- 1촉광의 빛을 107km 떨어진 곳에서 보는 밝기와 같다 그러나 이보다 밝은 별은 마이너스로 표시한다 가령 태양은 -267등급, 보름달은 평균 -125등급이다 포유류의 우제목(偶蹄目)에 속한 되새김동물 낙타과(科) 애기사슴과 사슴과 기린과 소과 등의 동물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 반추동물들은 4∼5개의 ... ...
- 무한속도의 비밀은 '칩'과학동아 l2007년 11호
- 높였던 것.영상의 용량이 늘어나 속도가 떨어지는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까. 액정표시장치(LCD) 같은 2차원 디스플레이는 2차원 이미지 하나면 충분하다. 반면 3차원 디스플레이는 최소한 2차원 이미지가 9개 필요하다. 그만큼 화면에 내놓기까지 처리해야 하는 정보량도 많아 시스템 속도가 느려진다. ... ...
-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경위도 개념 있었다과학동아 l2007년 11호
- 재는 방식으로 쉽게 얻을 수 있다. 다만 북극성은 정확히 북극에 있지 않아 아무런 표시가 없는 진북극을 구하는 문제가 조금 어려울 뿐이다. 그런데 왜 우리 역사에서는 위도에 대한 정밀한 측정치가 없고 원나라나 청나라에서 정한 값을 사용하는데 만족했을까. 우리 조상들이 위도를 정확히 ... ...
- 가을 밤하늘 '외계인의 고향' 찾기과학동아 l2007년 11호
- 등급으로 맨눈으로 볼 수는 없다. 하지만 쌍안경을 이용하면 밝기가 7등급 이상인 별까지 표시돼 있는 별자리 지도를 참고해 세레스를 쉽게 찾을 수 있다.별자리 지도에 나타나 있지 않은 7등급 천체가 있다면 세레스라고 봐도 무방하다. 만약 그 천체가 정말 세레스인지 확인하고 싶다면 며칠 더 ... ...
- 한국인 뇌지도 나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0호
- 박사가 만들고 있는데요, 뇌 사진 위에 뇌줄기나 피질, 혈관 등의 위치를 정밀하게 표시한 지도예요. 미로처럼 복잡한 뇌 속을 동네 돌아다니듯 생생하게 볼 수 있죠. 교과서에 나와 있는 뇌 해부도는 죽은 사람의 뇌를 찍은 것이기 때문에 미세혈관 등을 볼 수 없어요. 또 서양인의 뇌를 바탕으로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