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을 쫓는 기계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수천 명의 사람들이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이 사진은 현재 LHC에서 연구하고 있는 과
학자
800명의 사진을 콜라주한 작품으로 여성은 흰색, 남성은 검은색 배경으로 촬영해 ‘CMS’라는 글자를 만들어 냈다 ... ...
[프리미엄] 부활한 돼지 뇌세포 생명의 경계를 흔들다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경우 법적으로 죽음을 선고한다”며 “생물학적인 죽음에 대해 정책결정자, 신경과
학자
, 환자 등이 모여 새로운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뇌를 살릴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된 만큼 죽음을 결정하는 기존의 방식이 달라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뇌를 살리는 기술이 개발되면 뇌사 ... ...
수학 문화재는 어떻게 알아보나요?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322’라는 이름이 붙은 점토판에는 각각 15줄씩 4단락으로 나뉘어 쐐기문자가 적혀 있는데
학자
들은 이를 60진법의 자연수라고 해석했습니다. 특히 1940년대에는 이 점토판에서 ‘직각삼각형에서 직각을 낀 두 변의 제곱의 합은 빗변의 제곱과 같다’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만족하는 수들이 ... ...
블랙홀 첫 직관, 여전히 궁금한 5가지!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가늠조차 어려운 거리의 천체를 봤다는 것 자체가 실로 큰 업적이다.그렇다고 천문
학자
들이 여기에 만족하고 멈추는 것은 아니다. 지금보다 더 선명하게 보기 위해 관측 기술을 개선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우선 단순한 이미지가 아닌, 주변 가스의 회전을 볼 수 있는 영상을 만들 예정이다. 현재 ... ...
[혀의 진화] 영장류에서 인간으로 자유를 얻은 혀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있다. 베르니케 영역은 단어를 떠올리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1874년 독일의 신경정신의
학자
칼 베르니케가 처음 발견했으며, 베르니케 영역에 이상이 있으면 실어증이 생긴다. 단어들을 여러 개 연결해 의미가 있는 문장을 만드는 영역은 대뇌피질 하측전두엽에 위치한 브로카(Broca) 영역에서 ... ...
[수동TV] 수프라이즈~수
학자
들은 24가족?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결심하고 논문을 쓰기 시작했다. 후에 히로나카는 자신의 자서전에서 ‘나를 수
학자
로 만들어 준 것은 바로 그 소녀’라고 말했다. 이 소녀가 없었다면 히로나카는 첫 논문을 쓰지 못했을지도 모르고 자리스키를 만났을 때 보여줄 논문이 없었을지도 모른다. ... ...
"흥미로운 곳에 길이 있다" 잉그리드 도브시 인터뷰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해 이공 계열에 진학하도록 돕고 있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도브시 교수는 과
학자
, 수
학자
를 꿈꾸는 학생에게 현실적인 조언을 전했다.“연구자로서 연구 성과를 많이 내는 것과 행복한 가정을 꾸리는 건 한번에 여러 일을 하는 것처럼 어려워요. 이런 일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짝을 선택하는 것도 ... ...
[맛있는 수학] 도우의 변신은 무죄! 토르티야 피자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생각해왔어요. 하지만 2019년 3월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미국물리학회’에서 수
학자
샨카 벤카타라마니는 주름진 곡면은 가우스 곡률이 음수인 쌍곡면의 한 형태이면서 아주 독특한 개별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발표했어요. 쌍곡면의 대표적인 형태인 말 안장 곡면은 모든 점에서 미분 ... ...
영화 ‘샤잠!’으로 본 ‘핵인싸’의 심리학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이렇게 청소년이 정신적으로 성숙하는 과정을 가리켜 1994년 타계한 미국의 발달심리
학자
에릭 에릭슨은 ‘자기 정체성(identity)’을 확립하는 과정으로 정의합니다. 청소년이 정체성과 혼돈의 사이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정체성 확립을 위해 청소년에게 ... ...
[JOB터뷰] 과학책방 '갈다' 이명현 대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5호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에요. 그래서 과학의 세세한 원리까지 이해하지 않더라도 과
학자
들의 사고방식을 아는 것만으로 합리적인 생각 방식을 익힐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Q. 대표님처럼 어릴 때 갖고 있던 과학에 대한 흥미를 어른이 되어서도 잃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저는 아마추어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