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세
조류
진행
경향
유입
유통
형국
d라이브러리
"
흐름
"(으)로 총 2,209건 검색되었습니다.
켁! 기절 시키는 게 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이렇게 우리 몸에 산소가 부족한 현상을‘저산소증’이라고 하지요. 보통 혈액의
흐름
이 막히면서 의식을 잃기까지 30초 정도가 걸리는데, 4~5분 안에 뇌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으면 뇌의 기능에 손상을 입게 돼요. 자칫 10~20분 정도 기절상태가 계속되면 뇌의 기능이 정지되는 뇌사상태에 ... ...
여름의 적을 이기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수 있어요. 또 물놀이를 하는 곳의 깊이와 지형을 미리 알아보고 노는 것이 좋아요. 물의
흐름
이 갑자기 바뀌거나 빨라지는 곳도 위험하니 주의!바닥의 뾰족한 유리 조각이나 돌을 밟아 다칠 때도 많으니 아쿠아 슈즈를 신고 노는 것도 좋답니다. 바다나 강은 갑자기 깊어지는 곳이 많으니 구명조끼를 ... ...
'특별한 가족'을 맞이한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불순물이 모이게 되어 한 결정의 내부와는 다른 성질을 가지게 될뿐 아니라 전자(電子)의
흐름
등에도 방해가 된다 이 때문에 레이저나 반도체 등 균일하고 결정입계가 없는 단결정을 요하는 분야에서는 그것을 생장시키는 공정이 매우 중요하게 부각된다 그러나 단결정을 키워내는데 있어서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표현이다 즉 지구의 외각에 다이나모가 형성돼 지구의 자전운동(회전운동)과 대기의
흐름
등을 자기장으로 변화시킨다고 설명한다렌즈의 밝기를 나타내는 수치 렌즈의 초점거리를 망원경의 유효구경으로 나눈 값이다 f수가 1이면 사람눈이 사물을 보는 밝기다 f수가 커지면 렌즈는 어두워지며 ... ...
12월이 빨리 지나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흘러가는 것 같으면 나중에 기억으로 떠올릴 만한 것이 많고, 반대로 지루해서 시간의
흐름
을 길게 느끼면 나중에 기억할 만한 정보가 없어서 시간을 짧게 느낀다는 말이다.흔히 나이가 들면 하루를 비슷한 일상으로 보내는 것이 지겹다고 말하면서도, 시간이 빨리 간다고 한다. 그 이유는 방금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단)이며 이를 총칭한 것이 이온인 것이다방사성 원소의 붕괴와 더불어 방출되는 α입자의
흐름
α입자는 양성자 2개와 중성자 2개가 결합된 헬륨 원자핵으로 안정한 입자이다 이온화 작용이 강하고 물질을 통과할 때 그 경로를 따라 많은 이온이 발생한다 투과력은 약한 편이어서, 5백만V의 α선은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것은 종이 속에 있는 작은 틈이 모세관 역할을 하여 물이 올라 가는 것이다유체의
흐름
을 방해하는 정도를 점도라고 한다 유체의 점도가 커질수록 천천히 흐르는 것을 의미한다 점도란 유체내의 개개 분자가 다른 분자 위를 지나갈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큰 부피의 비대칭 분자는 부피가 작고 ... ...
일본까지 날아간 현수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대류운동의 결과 지표 위에서 일어나는 공기의
흐름
을 바람이라고 하죠.”이러한 공기의
흐름
은 지구 전체로도 일어난다. 지구는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적도 부근이 극지방보다 태양으로부터 받는 에너지가 더 많다. 따라서 지구의 에너지는 불균형한 상태가 되고, 이것을 골고루 나누기 위해 ... ...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타원편광으로 변하는 현상공기가 흐르는 현상이나 공기의
흐름
이 물체에 미치는 힘 또는
흐름
속에 있는 물체의 운동 등을 조사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만든 장치(이것이 풍동)를 가지고 하는 실험 풍동실험은 실물을 사용하여 직접 측정하는 것에 비해 모형을 계통적으로 변화시킬 ... ...
한국인의 돌연사를 막아라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1시간도 걸리지 않지만, 원인인 혈전은 최소 10년 전부터 혈관벽에 서서히 쌓여 혈액의
흐름
을 방해한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삶의질표준부 생체신호계측연구단(이하 표준연 생체신호계측연구단) 김원식 박사는 “경동맥의 혈관벽 두께를 측정하면 심근경색뿐만 아니라 뇌졸중의 발병 확률도 알 수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