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뉴스
"
관측
"(으)로 총 3,996건 검색되었습니다.
울산 동쪽 해상 규모 4.6 지진..."한국·일본 사이 흔히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22.09.20
울산 동쪽 해상에서 19일 오후 8시40분경 규모 4.6의 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 제공 울산 동쪽 해상에서 19일 오후 8시40분경 규모 4.6의 지진이 발생했 ... 가장 가깝다. 김 분석관은 “워낙 거리가 멀어 여진이 발생해도 감지가 쉽지 않다”며 “
관측
이 되면 분석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 ...
현실판 '아마겟돈'...27일 우주선 '다트' 소행성과 충돌
동아사이언스
l
2022.09.19
지구를 소행성 충돌 위협으로 보호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트 미션에서
관측
임무를 맡고 있는 크리스티나 토마스 미국 애리조나대 천문학과 교수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미션은 우주에서 거대한 당구 게임을 하는 것과 같다”며 “많은 데이터를 얻게 될 ... ...
[표지로 읽는 과학] 딥러닝으로 사계절 북극 해빙을
관측
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7
내내 북극 해빙의 변화를
관측
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해빙이 녹는 5월부터 9월까지의
관측
데이터에서 해빙의 두께를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 여름 기간 동안에는 얼음의 눈과 얼음 자체가 녹아 있을 수 있어 레이더 신호가 바다에서 반사된 것인지 얼음 표면에 녹아있는 물에서 반사된 것인지 ... ...
분화 직전 지진활동 멈춘 아이슬란드 화산
동아사이언스
l
2022.09.16
단계별 징후를 감지해야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로 지하 마그마를 지진파로
관측
하거나 화산 주변의 해발 고도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화산 아래 마그마를 모니터링해 화산 분화 징후를 확인하거나 인공위성이 활용된다. 테레사 유바이드 호주 퀸즈랜드대 지구 및 환경과학부 ... ...
사계절 내내 북극 해빙 두께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5
영국 국립해양연구센터와 브리스톨대 등 공동연구팀이 새로운 접근방법을 개발해 사계절 내내 북극 해빙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게티이미지뱅 ... 유럽우주국(ESA)이 2010년 발사한 위성 크라이오샛(CryoSat)-2은 지구 저궤도를 돌며 북극 해빙의 두께를
관측
하고 있다. ESA 제공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을 태풍은 정말 더 잦고 강력해졌을까
2022.09.14
위치한 우리에게 태풍은 절대 외면할 수 없는 숙명과도 같은 것이다. 우리가 기상
관측
을 시작한 1904년 이후 올해까지 119년 동안 무려 371개의 태풍이 한반도를 관통하거나 스쳐 지나갔다. 매년 3.1개의 태풍이 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셈이다. 여름철인 7월과 8월에 65%의 태풍이 집중된다. 가을철인 9월과 ... ...
국립어린이과학관 '2022 우주파일럿 미션캠프'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2.09.08
이곳저곳에 펼쳐진 우주인 훈련 미션 수행, 과학자 강연 수강,
관측
소에서 달과 별
관측
등 다양한 우주 훈련 과정으로 구성돼 있다. 모든 훈련을 마치면 우주파일럿 수료증이 제공된다. 조남준 국립어린이과학관 관장은 "앞으로 우주경제 및 뉴스페이스 시대를 선도할 미래 우주인재 양성에 ... ...
웹 망원경이 우주 독거미 안에서 찾아낸 수만개의 젊은 별
연합뉴스
l
2022.09.07
아직 많은 부분이 미스터리로 남아있는데, 웹 망원경은 적외선으로 이전에 볼 수 없었던
관측
자료를 제공해줌으로써 별 형성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ESO, ALMA (ESO/NAOJ/NRAO)/Wong et al., ESO/M.-R. Cioni/VISTA Magellanic Cloud survey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 ...
남극 빙붕 녹이는 바닷 속 소용돌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06
통해 수온과 염도, 산소 포화도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무인잠수정이다. 연구팀은
관측
자료를 토대로 바닷물의 방향과 속도 등을 분석했다. 그 과정에서 지름 10km의 소용돌이를 바다 속에서 발견한 것이다.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인근 난센 빙붕. 극지연구소 제공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인근 ... ...
[과기원은 지금] 포스텍, 조선시대부터 250년간 강수량 측정지수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06
유효가뭄지수를 최초로 제안했다. 이 지수로 1777년부터 2020년까지 서울 지역에서
관측
된 일일 강수량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일관적으로 가뭄의 발생빈도와 강도를 평가할 수 있었다. 분석에는 조선왕조실록과 측우기를 통한 일별 강수량 기록도 활용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저널 오브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