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젓가락
젖가락
젓갈
횡적
뉴스
"
저
"(으)로 총 2,232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수욕장에서 발견한 농게, 구애춤의 비밀은? ②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13
연구원) 다니엘라 페레즈 연구원 Q. 로봇을 이용한 연구는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나요?
저
는 10년간 농게의 구애춤을 연구했어요. 암컷은 어떤 구애춤을 좋아하는지 알아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했죠. 그러다가 수컷의 매력을 평가하는 정확한 특징을 알아내기 위해 로봇을 만들어 실험에 ... ...
[별별 필즈상 이야기]낙제와 낙방을 극복한 인간승리의 주인공은?
동아사이언스
l
2018.07.13
※편집자주. 필즈상을 수상한 수학자들은 모두 세계가 주목한 젊은 천재들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거쳐온 과정은 각자 다양하다. 필즈상 ... 세운 천재 중의 천재는? ②낙제와 낙방을 극복한 인간승리의 주인공은? ③필즈상?
저
는 안 받을래요? ④필즈상 받고 싶은데 갈 수가 없어요! ... ...
[별별 필즈상 이야기] 최연소 기록을 세운 천재 중의 천재는?
동아사이언스
l
2018.07.12
세운 천재 중의 천재는? ②낙제와 낙방을 극복한 인간승리의 주인공은? ③필즈상?
저
는 안 받을래요? ④필즈상 받고 싶은데 갈 수가 없어요! *출처: 수학동아 2014년 ... ...
이 여자가 살 안찌는 비결
팝뉴스
l
2018.07.09
된다. 사진 속 주인공은 미국의 피트니스 전문가이자 인스타그램 스타인 에이미 히팅
저
. MBA 학위도 있는 그녀는 공부뿐 아니라 운동도 아주 좋아한다고 한다. 평소 격하게 운동하는 덕분에 많이 먹으며 지낼 수 있는 것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아찔한 절벽 길 기념사진’ 화제
팝뉴스
l
2018.07.07
길이다. 사진은 해외 SNS에서 화제가 높은데 볼리비아에서 촬영되었다고 전해진다.
저
런 길을 차를 몰고 다니려면 무엇보다 심장이 최강이어야 할 것 같다고 많은 네티즌들이 말한다. 아울러 사진 속 남성의 간도 크다. 남자는 볼리비아 절벽 길의 위험성과 자신의 용기를 과시하려고 한다. ... ...
[여기에 과학] 북반구의 동쪽이 남반구에선 서쪽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6.22
세계 패권국이었던 로마 제국 때부터 동서양이란 개념이 퍼졌는데, 본인들을 기준으로
저
멀리 해가 떠오르는 아시아 지역을 동쪽이라 표현하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이를 반영해 한국이나 일본 등은 지금도 '극동아시아'라 불릴 뿐 아니라 지도에도 그렇게 표시되고 있습니다. 한편 처음 방위 ... ...
사람보다 큰 늑대 개 ‘화제’
팝뉴스
l
2018.06.22
어마어마한 덩치다. 머리도 사람보다 훨씬 크다. 화가 나면 야수로 돌변할 것 같다.
저
개의 정체는 무엇일까. 해외 네티즌들의 주목을 받는 사진 속 개는 ‘울프독’ 즉 ‘늑대 개’라고 한다. 개와 늑대 사이에서 태어난 ‘하이브리드’인 것이다. 크기도 크지만 힘도 아주 강한 것으로 알려져 ... ...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비행 후 해상회수 성공…
저
비용 지구관측 길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8.06.20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등 우주 강국에서도 과학기구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구글도
저
렴하게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대규모 과학기구 프로젝트인 ‘프로젝트 룬’을 추진 중이다. ‘스누볼(SNUBall)’의 비행 궤적. 강원도 삼척에서 출발해 울릉도 남쪽 60㎞ 해상에 착수했다. 2시간 여 ... ...
내 몸 부드럽고 정교하게 제어하는 ‘식스센스’ 비밀 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19
이상이 생기면 신체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진다. 특히 소뇌 발달이 부족해지는 소뇌
저
형성증 환자나 퇴행성 뇌질환 환자는 걸음걸이에 이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연구를 이끈 김규형 교수는 “소뇌가 보행 등 동물의 다양한 움직임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각 근육 및 관절의 움직임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디랙은 “반물질의 철학적 의미를 설명해달라”는 질문에 대해 “난 그런 거 모른다. 그
저
계산(수학)의 결과일 뿐”이라고 퉁명스럽게 답하며 말을 끊었다. 설사 아인슈타인이 자폐 성향이 아니었더라도 10년 넘게 고도로 집중해서 상대성이론 연구를 하다 보니 사회성이 꽤 떨어졌을 것이다. 194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