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확성
정밀성
뉴스
"
정교함
"(으)로 총 1,106건 검색되었습니다.
습관의 뇌과학
2014.05.26
습관은 제2의 천성으로 제1의 천성을 파괴한다. - 블레즈 파스칼 단어 가운데는 본래 가치중립적이지만 쓰임새는 한 쪽에 치우친 것들이 있다. 예를 들어 냄새라는 말은 대체로 악취를 가리킨다. 즉 ‘화장실 냄새’는 자연스럽지만 ‘커피 냄새’보다는 ‘커피 향’이 즐겨 쓰는 표현이다. ... ...
인텔국제과학경진대회(ISEF) 2014 직접 가보니
과학동아
l
2014.05.23
황다원(대구과학고 3학년) 군이 태블릿PC를 이용해 연구 성과를 설명하고 있다. - 이우상 기자=로스앤젤레스 제공 15일(현지 시간) 오전 미국 로스앤젤레스 컨벤션센터. 황다원 군(대구과학고 3학년)의 태블릿PC에는 새빨간 불기둥이 치솟고 있었다. 지나가던 외국인 관람객이 발길을 멈추고 불기둥 ... ...
시어도어의 사랑은 축복받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05.18
“지금 내가 컴퓨터와 이런 대화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이 믿기질 않는군요.” “아니죠. 당신은 지금 ‘저’와 대화하는 중이에요.” 편지 대필서비스 업체에서 일하는 시어도어(호아킨 피닉스 분)는 낭만적인 문장을 만들어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는 일을 하면서도 정작 본인은 부인과 별거 ... ...
레일위 8mm 떠 소리없이 스르르…세계 두 번째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개통 임박
과학동아
l
2014.05.15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에코비' - 전준범 기자 제공 14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역. 2층 높이에 깔린 레일 위에 2량짜리 ‘미니 열차’가 서 있었다. 국내에서 최초로 개통될 자기부상열차 ‘에코비(Ecobee)’다. 문이 열리고 열차에 올라타자 잠시 후 아무 소음 없이 스르르 미끄러지듯 움직인다. 신병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미국의 저널리스트 플로렌스 윌리엄스가 2012년 출간한 ‘Breasts’. 2012년은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 출간 50주년과 1952년 미국 휴스턴에서 실시된 첫 번째 유방확대수술 50주년이 되는 해다. 사진은 2013년 나온 페이퍼백. - 강석기 제공 샤워장이나 봄철 대학캠퍼스에 가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여 ... ...
캥거루 로봇, 점프가 ‘살아있네’
과학동아
l
2014.04.08
훼스코 제공 껑충껑충 뛰는 캥거루가 등장한다. 둥글게 발달한 발과 종아리, 관절이 정교하게 움직여 한번에 높이 뛰어올라 멀리 이동한 뒤 안정적인 착지까지. 영락없는 진짜 캥거루다. 하지만 이 캥거루는 독일 훼스코 바이오닉러닝네트워크 연구진이 만든 ‘바이오닉캥거루 ... ...
니들이 ‘새우’를 알아?
과학동아
l
2014.04.07
중국 쿤밍시 인근에서 발견된 5억년 전 살았던 원시 새우 - Xiaoya Ma 제공 5억 년 전에도 고등 심혈관계를 가진 생물이 존재했다는 사실이 처음 밝혀졌다. 미국 애리조나대 등 국제 공동연구진은 중국 쿤밍시 인근에서 완벽하게 보존된 길이 7.5cm ‘원시 새우’ 화석을 발견했다. 이번에 ... ...
이 독수리, 썩은 고기 먹고도 건강하답니다
과학동아
l
2014.03.31
국립중앙과학관 제공 ‘하늘의 제왕’ 독수리는 이름에 걸맞지 않게 동물의 사체를 먹고 산다. 쉽게 썩는 사체를 먹어 치워 사람과 동물이 탄저균과 같이 나쁜 균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최근 주요 번식지인 몽골에서 먹이가 줄고 각종 약물에 노출되면서 개체수가 ... ...
소의 폐가 비타민 C 덩어리?!
과학동아
l
2014.03.30
코와 미각의 연관성, 위 해부의 역사, 변비에 대한 오해 등을 통해 인체의 신비와
정교함
에 감탄을 자아내게 만든다. ‘침, 균, 똥’에 대한 모험기를 읽고 나면 씹고 흡수하고 배설하는 일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길 수 있을 것이다. ◆공룡은 어떻게 나타났다 사라졌을까(쥘리에트 누엘레니에 ... ...
나노섬유로 세포 배양해 손상 조직 치료
과학동아
l
2014.03.12
과거에는 세포의 기능이나 약물에 대한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인체나 실험동물로부터 추출한 세포를 플라스크에 배양하거나 약물을 체내에 주입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체 조직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나노소재를 이용해 세포를 3차원적으로 배양함으로써 세포반응에 대한 정보를 보다 더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