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결
해법
정해
소멸
파탄
해제
해약
뉴스
"
해소
"(으)로 총 1,264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 버벅거림 사라진다
2016.07.01
pixabay 제공 스마트폰이 버벅대는 현상을
해소
할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정현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5G기가통신연구본부장은 SK텔레콤과 공동으로 서비스 지연 속도가 2ms(밀리초·1ms는 1000분의 1초) 안팎인 ‘5세대(5G) 저지연 이동통신 기술’ 검증에 성공했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5G는 ... ...
범죄 ‘예측’ 프로그램이 있었다면 올랜도 총기 난사, 영국 의원 피살을 막았을까?
2016.06.26
이상, 범죄를 예측하고 이를 사전에 막는다는 시도 자체가 가진 근본적인 모순은 끝내
해소
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참고 ☞ Politico 기사 ☞ 디지털 트렌즈 ※ ... ...
‘녹조라떼’ 걱정 없이 수돗물 쓸 수 있게 되나
2016.06.20
연구를 주도한 이상협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물자원순환연구단 책임연구원과 김기팔 KG케미칼 연구소장 - KIST 제공 대형 정수장 뿐 아니라 중소 규 ... 응집제가 정수장의 조류 문제를 제어해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 공급과 국민들의 불안감
해소
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
양극화된 미래를 그린 영화 ‘엘리시움’과 스위스의 ‘기본소득’
2016.06.18
Tax)도 함께 소개하긴 했지만, 자본주의의 핵심 동인인 소비의 근간을 마련하고 궁핍을
해소
할 대안의 시발점으로 테크노 경영학자들이 기본소득을 언급한 것은 분명 큰 의미가 있는 것이다. ●양극화된 미래 사회를 그린 영화 ‘엘리시움’ 사실 인공지능의 효용성이 극대화되고 로봇의 성능이 ... ...
구글 떠나는 보스턴 다이내믹스, 대재앙의 시작?
2016.06.04
준비되어 왔다는 인상이 짙다. 혼다 등 경쟁사와의 로봇 분야에서의 격차를 일거에
해소
할 수 있는 길이라 믿고 전략적으로 접근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 그렇다면 도요타는 BD의 인수에 얼마를 배팅할까? 구글이 BD를 인수한 금액이 공개되지 않았던 것처럼, 이번에도 거래가 확정되더라도 그 금액이 ... ...
냉장고 속 식품 먹어도 되나 “전자코가 알려준다”
2016.06.03
퍼져 있어도 가스 형태가 아닌 경우 전자코는 무용지물이다. 이런 전자코의 단점을
해소
한 ‘차세대 전자코’ 개발이 활기를 띠고 있다. 사람처럼 냄새 분자에 직접 반응하는 전자코 기술이 속속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차세대 전자코 기술은 국내 연구진이 가장 앞서 있다. 권오석 ... ...
사용후핵연료 처분 실험 지하 120m 동굴 ‘KURT’를 아시나요
2016.06.03
“신(新)한미원자력협력협정 체결로 사용후핵연료 연구 개발 제약 요인이 일부
해소
돼 다행”이라며 “앞으로 미국과의 협의를 통해 향후 더 높은 수준의 재활용 권한을 얻어 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 ...
구석구석 신호 보내는 ‘스몰셀 기지국 SW’ 개발
2016.06.02
소형 기지국 1대 당 최대 128명까지 통신을 원활히 지원할 수 있어 전파음영지역
해소
는 물론 야외 경기장나 공연장 등 많은 사람이 몰리는 지역에 추가 통신서비스를 구축 할 때도 유용하다. 정현규 ETRI 5G기가통신연구본부장은 “이번 성과는 5G(세대) 이동통신 스몰셀 시장을 선점하고자 ... ...
리멤버 이어 또다시 인해전술…‘자비스’ 김범섭 대표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6.06.01
김범섭 대표 역시 이 과정에서 큰 교훈을 얻었다. 서비스는 사용자의 애로사항을
해소
하는 데에만 집중해야 한다는 점, 이를 위해서 무조건 기술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는 교훈이다. 김범섭 대표는 지난 해 드라마앤컴퍼니를 퇴사하고 자비스앤빌런즈라는 ... ...
국내 9개 대학 “병역특례 폐지는 국가경쟁력 저하 불러올 것”
2016.05.30
해외유출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전문연구요원제도가 이공계 인재의 연구경력단절을
해소
하고 우수 인재들이 이공계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제도적 유인책으로 작용해 왔기 때문이다. 급변하는 글로벌 경쟁시대에 이공계 대학의 경쟁력은 국가경쟁력과 직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가오는 4차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