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염
경구감염
경구
경귀
자가감염
자가
자가보험
뉴스
"
감염
"(으)로 총 10,695건 검색되었습니다.
3만 2000대 컴퓨터 동시 피해입힌 사상 최악의 해킹
동아사이언스
l
2013.12.30
해킹한 다음, 백신 프로그램이 자동 업그레이드 될 때 회사 내의 모든 컴퓨터를 자동으로
감염
시키는 지능적 수법을 동원한 것이다. 당시 피해를 입은 컴퓨터의 대부분은 복구 불능 상태에 빠졌다. 보통 컴퓨터는 전원을 넣으면 맨 처음 하드디스크 맨 안쪽에 있는 ‘MBR(master boot record)’이라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년 면역학 분과 책임자가 된 아스코나스는 동료들을 이끌며 세포독성T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
된 세포를 죽인다는 사실 등 중요한 결과를 잇달아 내놓았다. 아스코나스가 과학자의 삶을 시작할 무렵만 해도 여성 과학자는 드물었다. 아스코나스는 케임브리지대 생화학과에서 박사과정을 할 때 ... ...
매일 마시는 와인 한잔, 면역력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단골 메뉴다. 그러나 낮은 알코올 도수의 술을 가볍게 마시면 면역력이 높아져 바이러스
감염
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적당한 음주가 사망률을 줄인다는 기존 학설을 뒷받침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리버사이드캠퍼스 일렘 메소우디 교수팀은 붉은털원숭이 12마리에 ... ...
진실을 가장한 거짓 '시모니니' 여전히 존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우리의 뇌가 익숙한 풍문을 사실로 인식하는 ‘안타까운’ 특성을 지녔다면, 풍문에
감염
되지 않도록 면역력을 높여 예방해야 한다는 것. 다행히도 인간은 다른 동물들과 달리 ‘메타인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메타인지는 쉽게 말해 우리가 이 생각을 왜 하는지를 생각하는 것, 즉 ... ...
네이처 선정 2013년 10대 과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유전자 치료법에 응용한 미국 매사추세츠공대 생명공학자. 데보라 퍼서드 - HIV에
감염
된 채로 태어난 신생아가 치료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밝혀낸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바이러스학자. 마이클 메이어 - 지구와 질량·크기가 가장 유사한 행성 ‘케플러-78b’를 비롯해 수백 개의 외계행성을 ... ...
미세먼지와 스미싱 과학기술로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19
먹거리 안전을 지키기 위한 통합위해성평가 기술 및 위·변조 농수산물 판별 기술 개발,
감염
병·심뇌혈관질환 조기감시, 스마트 신호제어시스템 기술 개발 등도 포함됐다. 한편, 과학기술분야 연구회 기능 재정립 방향에 대한 안건도 논의됐다. 이에 따라 기초기술연구회와 산업기술연구회가 ... ...
저개발국 맞춤형 질병 진단시트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17
매년 5만여 명이 사망할 만큼 치사율이 높지만, 의료시설이 낙후된 아프리카에서는
감염
여부조차 제대로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원하는 유전자만 골라 다수 복제시키는 ‘유전자 증폭법’을 적용한 진단 시약을 결핵용과 수면병용으로 각각 만들었다. ... ...
[토요일에 만난 사람]‘발명왕 의사선생님’ 이희영 박사
동아일보
l
2013.12.16
의료 폐기물로 인정해 달라’는 신청을 했다. 체내에서 분리한 지방은 바이러스 등
감염
위험이 있는데 의료 폐기물이란 명문화가 되지 않아 그냥 하구수로 버려지는 일이 잦았다. 하수구가 막히는 사례도 많았다. 성형외과 의사들에겐 고민거리였다. 이 박사는 지방을 그냥 버리는 대신 활용하면 ... ...
시간여행으로 바뀌는 미래 정말 행복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15
확인하는 장면에서 더 노골적으로 드러난다. 우석이 가져온 영상파일은 바이러스에
감염
돼 있었기 때문에 당장 알 수 있던 사실은 연구소에 화재가 발생한다는 것뿐이다. 그러나 바이러스를 치료하고 CCTV 파일을 열어 연구원들이 죽는 모습을 목격할 때마다 그 광경은 예고된 미래가 아닌 실제가 ... ...
21세기에 웬 흑사병? 3개 대륙 현재진행형
동아일보
l
2013.12.13
것으로 나타났다. 14세기 중엽부터 300년 동안 유럽을 공포로 몰아넣었던 급성전염병.
감염
후 살이 썩어 검게 되기 때문에 ‘검은 죽음(black death)’으로 불렸던 흑사병의 공포는 19세기 말 병의 원인인 페스트균 치료법이 개발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듯했다. 그러나 흑사병의 그림자는 현재에도 ... ...
이전
1056
1057
1058
1059
1060
1061
1062
1063
10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