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음이 있어야 더 잘 들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신경이 느끼는 미약한 촉각에 약간의 전기적 소음을 주입해서 씹는 느낌을 느낄 수 있을
정도
로 증폭한 것이다.현재는 중풍이나 당뇨병 환자가 걷거나 지각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열중하고 있다. 그는 ‘소음공명현상에 관한 연구와 응용’으로 1999년 미국 MIT 테크놀로지 ... ...
1. 독가스를 난방연료로 둔갑시키는 재주꾼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따뜻하게 만들거나 전기같이 특별한 에너지를 주지도 않았는데, 단지 손으로 만져주는
정도
로 어떻게 차가웠던 주머니 난로가 따뜻해졌을까. 바로 주머니난로 속에 든 촉매가 손의 움직임으로 주머니 안의 물질이 반응을 일으키도록 도와줬기 때문이다.벤젠(${C}_{6}$${H}_{6}$)이 스민 천을 밀폐용기에 ... ...
1. 공중에 솟은 정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옮겼다. 수도를 옮기기 위해 재건한 바빌론은 고대의 바빌론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
의 거대한 성곽을 가진 도시였다.고대에서 가장 넓은 성곽이라고 해도 폭이 8m에 지나지 않았으나 바빌론의 성곽은 무려 17.7m가 됐다는 것이 근래의 발굴에 의해 알려졌다. 외부 성곽은 11.3km이며, 내부 성곽은 6km다. ... ...
껌 8분 이상 씹으면 스트레스 받는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씹는 행위와 관련된 말초기관 영역(악안면)이 차지하는 범위가 전체의 1/3를 차지할
정도
다. 그만큼 뇌로 보내지는 정보량이 다른 부위보다 많다는 의미다.따라서 다른 기관보다 악안면에 의한 정보의 오류는 뇌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씹는 행위는 일생을 통해 반복해서 이뤄지는 운동이기 ... ...
타우 제로 (Tau Zero)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5광년 떨어진 버나드성까지 5백t의 장비와 인원을 보내기 위해 필요한 연료가 무려 6백만t
정도
로 산출되기 때문에, 사실상 핵융합로켓도 항성간 여행의 실제적 대안이 되지 못한다.그런데 램제트 엔진은 이런 문제점이 간단히 해결된다. 이 방식은 우주공간에 흩어져 있는 수소 등의 성간물질들을 ... ...
썩는 플라스틱 생산하는 대장균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미생물의 대사특성을 사람이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는 기술이다. 인간이 보기엔 무의미할
정도
로 많이 개체수를 증가시키며 성장하는 미생물을 인간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이 이 기술의 핵심이다.대사산물의 대량생산은 대사공학분야의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분야다. 효소를 ... ...
꿈의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F램 기술 선도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그런데 메모리가 상용화되기 위한 수명기준으로는 읽고 쓰는 반복작업 사이클이 1012-101 3
정도
돼야 한다. 현재 개발된 F램은 이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신뢰성 문제다.이교수가 F램의 신뢰성 문제를 연구한 역사는 깊다. 1990년대 초 박사과정 때부터다. 그는 F램의 신뢰성 문제 ... ...
천왕성 발견자 윌리엄 허셜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자신이 그린 성도에 천왕성을 표시하고 있었다. 그런데 맨눈에는 간신히 보일
정도
로 어두웠을 뿐 아니라 움직임도 매우 적었기 때문에 별로 기록했다. 하지만 허셜 남매의 끈질긴 추적으로 움직임이 발견됐던 것이다. 허셜은 그해 천왕성을 발견한 것 이외에도 2백69쌍의 이중성을 발견했다. ... ...
전기자동차는 휘발유자동차를 이길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비전이 부족했다. 그들은 전기자동차를 기존의 마차를 대체하는 도심의 운송수단
정도
로만 생각했다.이와 달리 휘발유자동차 사업자들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개인의 자유’를 확장시킨다는 자동차의 가능성을 현실화하는데 적극적이었다. 만약 전기자동차 사업자들이 주유소와 같은 ... ...
생명공학자가 되려면 어느 과를 가야 할까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화학과는 뗄 수 없는 관계가 됐다.생명과학의 기초교과목으로 생화학이 중심일
정도
다.뇌과학 연구 상당수가 물리학자화학자뿐 아니라 물리학자가 생명현상을 연구하는 사례가 늘어가고 있는 추세다.특히 뇌과학 연구자의 상당수가 물리학자다.신경세포가 어떻게 서로 정보를 주고받고 ... ...
이전
1059
1060
1061
1062
1063
1064
1065
1066
10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