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DC형일 확률은 27%인 반면 왼손잡이는 80%나 된다. 소수라는 이유만으로 가위질에서 전철
개
찰구까지 하루에도 수없이 불편함을 감수하고 살아가야 하는 왼손잡이들. 아직까지 완전히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뇌와 손에 대한 최근의 연구결과는 이들이 인류의 소수정예임을 시사하고 있는 셈이다.오른손, ... ...
어디서나, 누구나 컴퓨터를 입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6
개
월만에 바꾸나. 한국 젊은이들의 이런 ‘얼리어답터’적인 성향을 웨어러블 PC
개
발에 적용한다면 외국에서 상상할 수 없는 참신한 상품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무대 기획을 담당한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조수지 연구원은 “기존 패션쇼와 달리 웨어러블 컴퓨터 패션쇼는 옷 자체가 아니라 옷에 ... ...
만약에 세상의 모든 가로등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듯 하다. 이 책에서는 이미 밤하늘 보호지구로 지정된 미국 애리조나의 팔머호수를 소
개
하고 있으니 말이다.우리나라에서도 1999년 강원도 횡성군에서 천문인 마을이 있는 강림면 월현리를 ‘별빛보호지구’로 선포했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앞으로 도시의 밤은 더욱 환해질 것이고, 부담스러운 ... ...
500층에 도전하는 초고층 빌딩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문제가 일어나면 다른 건물로 대피하는 방식이다. 일본에서 구상한 에어로폴리스2001도 4
개
의 건물이 연합한 형태다.초고층 건물의 한계는 없다왜 사람들은 초고층 건물을 지으려고 할까. 바벨탑 신화에서 볼 수 있듯 인간은 하늘을 향한 상승욕구를 갖고 있다. 특히 더 이상 팽창하기 힘든 거대 ... ...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살람 등이 입자물리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만든 이론. 12
개
의 기본입자와 그 힘을 매
개
하는 입자를 설정하고 있다. 작고한 이휘소 박사도 표준이론 설립에 큰 공헌을 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와 생명 탄생의 숨은 코드 비대칭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2. 심장 왼쪽에 ... ...
'입자물리학의 메카' CERN 50주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이때 만들어진 반물질은 반수소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제조한 반수소는 고작 수천
개
정도. 폭탄과는 거리가 먼 무척 적은 양이다. 또한 아직까지는 반물질 폭탄을 만드는데 필요한 반물질을 저장하는 기술은 등장하지도 않았다 ... ...
술, 담배, 마약 왜 끊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지난해 9월 안모씨(44)는 한 모텔에서 히로뽕 0.03g을 투약하고 스스로 경찰에 신고 했다. 경찰은 신고를 받은 즉시 안씨를 검거했다. 안씨는 “다시는 마약에 손 ... 억제할 수 있는 특효약은 없다. 그러나 탐닉과 중독 과정을 좀더 정확히 밝혀내면 치료제
개
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
하루 사과 한
개
로 뇌세포 손상 걱정 끝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사과를 먹으면 암 유발 위험을 없애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하루에 사과를 한
개
먹을 경우 많은 생물활성작용을 돕는 화합물들이 공급돼 퇴행성 질병 유발 위험을 더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 결과는 농업식품화학저널 최신호에도 발표될 예정이다 ... ...
대형유인원 화석 및 진화 지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동향에 큰 영향을 끼쳤다1931~ 미국의 물리학자 소립자물리학의 새로운 국면을
개
척했다 76년 이 공로로 이 입자를 독립적으로 발견한 S C C 팅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궤도의 법선방향으로 향한 가속도의 성분 질점이 가속도 운동을 하고 있을 때 가속도는 속도에 평행하는 성분과 수직의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정말 약한 상호작용이나 미지의 물리적 과정의 결과로 나타난 현상이라면, 비대칭을 매
개
로 생명과 우주를 연결한 파스퇴르의 혜안에 경탄하지 않을 수 없다.대칭·비대칭은 환경적응의 결과많은 생물의 외모가 좌우대칭 또는 방사대칭이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외부 구조의 대칭, 비대칭은 ... ...
이전
1062
1063
1064
1065
1066
1067
1068
1069
10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