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자인
계획
구상
입안
착상
도안
건설
d라이브러리
"
설계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쥐 로봇' 나온다
과학동아
l
200804
핵방사선(nuclear radiation)이나 유독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탐지기 등을 초소형 크기로
설계
할 예정이다. 각각 ‘박쥐’의 눈, 귀, 코를 만드는 셈.연구팀은 ‘박쥐’의 야간 비행에 대비해 저전력 레이더와 고감도 주행 시스템도 개발할 계획이다. ‘박쥐’가 비행하는 데 필요한 전력은 약 1W ... ...
2030 바이오닉맨
과학동아
l
200804
입고 신체의 각 부분을 업그레이드한 포스트휴먼은 어떤 모습일까. 전문가들이 구상한
설계
도를 하나씩 살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30 바이오닉맨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part 2 원하는 소리만 골라 듣는 '소머즈'귀 part 3 천하무적 팔과 다리 part 4 암기에서 해방시켜주는 인공해마 ... ...
울돌목의 거센 물살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04
해양연 항만·연안공간연구사업단의 이달수 박사팀은 조력발전소의 효율을 높이는 수문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 수문은 조력발전을 위해 쌓은 방조제에서 물이 들어오는 통로로 바닥의 높이나 구조에 따라 유량이 크게 변한다. 이 박사는 “여러 가지 조건을 변화시키며 수문의 성능을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04
것처럼 단백질의 구조를 알면 어떤 기능을 하는지 알 수 있다. 이때 그는 단백질의 ‘
설계
도’를 그리는 구조생물학에 본격적으로 빠져들었다. 한번은‘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이라는 과목의 강의가 너무 재미있어 한 학기의 수업이 끝나자 다음 학기에 또 청강하기도 했다. “한 번 본 영화를 두 ... ...
part 2 지구 위에 뜬 거대 실험실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804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1993년까지 9년간 의회에서 받은 예산으로 책상 위에서
설계
도만 그렸을 뿐 단 하나의 부품도 우주로 올리지 못했으며 계획 자체가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 더군다나 1986년 우주왕복선 챌린저 폭발사고가 일어났다. 반면 러시아는 같은 해부터 살류트보다 발전된 우주정거장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04
음성 외의 신호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특히 아날로그 통신망은 음성이 잘 전송되도록
설계
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각종 변조방식이 있다 데이터처리 목적에 적합하도록 필요한 데이터를 조직적으로 정리한 데이터의 목록 데이터파일은 크게 변동하지 않는 기본이 되는 ... ...
무한도전 과학경진대회!
과학동아
l
200804
안으로 착지시키는지 탁 트인 공간에서 한바탕 과학축제가 벌어진다. 전자회로를 잘
설계
해 자기만의 라디오를 만들기도 하고, 과학상자로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모형 기계를 만들기도 한다. 광센서가 들어있는 로봇을 만들어 바닥에 그은 선을 따라 달리기 시합을 하는 라인트레이서도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03
“회사는 맡은 일만 하는 곳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이 분들이 열정적으로 미래를
설계
하는 모습을 보면서 많은 걸 깨달았습니다.”핵융합 연구를 하는 나라들의 핵융합플랜트 관련 최신 연구현황과 연구기관 자료들을 업데이트하고 정리하는 업무를 했던 주현 양은 수천도의 열과 고에너지 ... ...
PART4 지구온난화 늦춰줄 한 줌의 '소각재'
과학동아
l
200803
쓰레기 배출량은 줄고 재활용률이 상승했다. 21세기의 재활용 트렌드는 ‘환경을 위한
설계
’다. 제품을 제작하는 단계부터 유해물질을 쓰지 않고 재활용하기 쉬운 재료를 골라 쓴다. 이 과정에서 두꺼운 브라운관TV는 LCD TV로 대체됐고 납이나 카드뮴은 퇴출됐다.과학기술부 지정 21세기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03
디자인한대로 실험을 하고 논문을 내 박사가 ‘양산’되는 현실입니다.스스로 연구를
설계
하는 능력이 없으면 얼마가지 못합니다.”포닭 블루스는 단순히 웃기기 위한 만화가 아닌 ‘블랙 유머’를 지향한다는 신 교수의 말에서 21세기 한국 과학자의 고뇌가 느껴졌다. 재치만발 돌발문답 3DRAWING THE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