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집
주점
나이트클럽
호프
선술집
식당
salon
d라이브러리
"
바
"(으)로 총 3,113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1. 당은 비만의 주범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범위에서 당뇨병 환자들이 설탕을 섭취해도 좋다는 새로운 식이요법 지침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당뇨병 환자가 스파게티, 감자, 케이크, 과자등 모든 탄수화물 식품을 동일한 열량 기준에 따라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당이 들어 있는 음식도 정해진 열량 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 ...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순물질(純物質)의 질량이나 화합의 능력에 불연속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실험적 근거에
바
탕을 둔 원자론을 제창했다 동력변성작용에 의해 생성된 암석 지하 심부의 단층운동 및 조산운동에 의해 암석이 압쇄(壓碎)됨과 동시에 재결정되어 형성된다대표적인 것으로 미로나이트가 있다특히 넓은 ... ...
1. 대한민국 최고과학자의 몰락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황 교수는 12월 16일 기자회견에서 “누군가가 줄기세포를 미즈메디병원 것과 의도적으로
바
꿨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12월 22일 검찰에 수사요청서를 제출했다. 이를 두고 “스스로 줄기세포는 없다고 고백한 셈이 아니냐”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조사위는 2004년 논문도 검증을 진행 중이다. 김동욱 ... ...
달 달 무슨 달?! 달이 너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8호
달의 뒷모습은 우리가 항상 보는 앞모습과는 사뭇 다릅니다. 달의 무늬로 보이는 달의
바
다가 앞면은 31.2%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에 뒷면에는 2.6%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무늬가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또한 달의 뒷면에는 수많은 크레이터로 구멍이 숭숭 나 있답니다. 우리가 보지 못하는 면이기 ... ...
동화처럼 읽는 이상한 나라의 아인슈타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영감을 얻을 수 있었지. 내가 상대성이론에 대한 아이디어를 처음으로 이야기한 상대도
바
로 베소야.마지막으로 에딩턴은 일반상대성이론을 이해하고 지지했던 과학자였어. 전세계적으로 이해하는 사람은 몇 사람 되지 않았는데 말이지. 나는 태양과 같이 중력이 강한 곳에서는 빛이 휜다고 ... ...
디지털 주얼리(Digital Jewelry)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생기발랄한 20대에서 중년까지 여자라면 꼭 하나쯤 갖고 싶어 하는 욕망의 결정, 아름답지만 흔치 않고 쉽게 넘보기 힘든 미인같은 존재, 태양과 달 ... 줄이자는 아이디어에서 나왔다. 시계만 차고 다니면 미국 전역의 7500여개 액손모
바
일 주유소와 맥도널드에서 언제든지 지불이 가능하다 ... ...
Smart D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다 쓸려가 버리듯 조금 전의 일은 아무 흔적도 없이 사라져 있었다. 사람들이 자기를
바
라보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겁에 질린 얼굴들이었다. 시선을 아래로 떨어뜨렸다. 셔츠 오른쪽 포켓에 D 한 개가 강렬한 빛을 내며 앉아 있었다. 그는 옷에 커다란 거미라도 붙은 것처럼 몸을 털었다. 그래도 D는 ... ...
수직 절리의 조각 예술 관악산 연주대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경우 침식과 풍화는 이 세로의 기다란 절리면을 따라 집중된다.관악산의 연주봉은
바
로 이런 수직 절리가 만들어낸 자연의 조각품이라 할 수 있다. 수직 절리에 의해 형성된 기암들은 강원도 속초 설악산의 공룡능선이나 용아장성능을 비롯해 전남 영암의 월출산과 장흥의 천관산 등에서 볼 수 있다. ... ...
천문학자 울린 샛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태양간의 정확한 거리를 얻기란 그의 방법으로는 어렵다.만약 당시 관측에 성공하고도
바
라던 결과를 얻지 못했다면 르장티는 훨씬 더 낙담하지 않았을까 ... ...
잃어버린 나를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권위 있는 여러 기관에서 21세기의 주요 신기술 중 하나로 뇌-기계 접속 기술을 꼽은
바
있다. 왜 최근에 와서야 뇌-기계 접속 기술 연구가 활성화됐을까? 그 이유로 우선 신경신호 측정기술의 발전을 들 수 있다. 최근 들어 고집적 다중채널 신경신호 측정기술이 발전해 한번에 100개 이상의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